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이번주 고비" 부산시, 병원내 감염환자 찾기 고군분투



부산

    "이번주 고비" 부산시, 병원내 감염환자 찾기 고군분투

    수도권 병원 방문자 명단 없고, 일부 시민 과도한 검진 요구 잇따라 방역 작업 이중고

    부산시청에서 열린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민관합동 대책회의 모습

     

    부산에서도 첫 메르스 확진자가 확인된 가운데, 이번 주가 지역내 감염을 통한 2차 유행을 막을 중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시는 메르스에 대한 잘못된 정보나 불안감으로 과도한 상담 · 진료 요구가 잇따라 메르스 확산 방지에 오히려 차질을 빚고 있다며 시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부산에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는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14호 확진자로부터 감염된 61살 A 씨가 현재로선 유일하다.

    시는 A 씨와 접촉한 58명을 찾아내 이중 30명을 자택 격리하고, 23명은 능동감시 조치를 내린 뒤 감염 확산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나머지 4명은 격리 조치를 해제했다.

    8일 하루동안 4명의 유사 증상자를 발견해 검체 분석을 벌였으나 이중 3명은 음성 판정이 나왔고, 1명은 발열 외의 특이 증상이 없어 추가 감염환자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는 이번 주 안에 병원내 감염 환자를 찾아내 격리해야 지역사회 감염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모든 의심환자에 대해 선제적인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김기천 부산시 건강체육국장은 "다른 지역 병원에서 병원균이 전파된 3차 감염자들이 27~29일 사이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잠복기가 모두 끝나는 이번 주말쯤이 2차 대유행의 고비라고 본다"면서 "이때까지 빨리 관리대상에 포함시켜야 무차별적인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보공유를 하지않는 질병관리본부의 비협조로 서울 등 수도권 병원을 다녀온 사람의 명단이 없어 시민들의 자발적인 신고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민들의 과도한 불안감까지 겹치면서 메르스 감염의 개연성이 전혀 없거나 발열을 비롯한 의심증세가 없는데도 막무가내로 감염 검사를 요구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부산시의 방역활동에는 어려움이 이중삼중 가중되고 있다.{RELNEWS:right}

    부산시 관계자는 "전담직원 5명이 투입된 메르스 상담· 신고 전화(핫라인)가 마비 지경에 이르고 일선 보건소 등지에서도 업무 차질이 잇따르고 있다"며 "일부 시민의 과잉반응은 자칫 상담이나 진료가 꼭 필요한 사례에 제때 대처할 수 없게 만드는 만큼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메르스의 실상과 증상, 예방수칙 등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 메르스 확산 방지 작업에 협조해 줄 것을 시민들에게 호소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