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개혁·진보를 표방하고 있지만, 새로운 인물을 발굴하는 데는 매번 보수당인 여당에 뒤쳐져왔다. 이렇다보니 상대적으로 '늙은 당'이 돼버렸고, 시대흐름을 쫓아가지 못하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당 혁신위가 첫 작품으로 '현역 교체지수' 도입을 내놓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뒤늦은 감이 있지만 야당 입장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개혁안이라는 평가다.
野性 잃은 인적쇄신…여당에 매번 10% 정도 뒤쳐져24일 CBS노컷뉴스가 최근 3차례의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의 현역 교체비율을 분석한 결과, 지금의 야당은 대체적으로 여당에 비해 10%p 정도 현역교체율이 떨어졌다.
2004년 17대의 경우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의 현역 교체비율은 36.4%에 달했다.
당시 중진의원 26명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최병렬 전 대표, 서청원 전 대표, 박종웅 의원 등 중진의원들이 공천 심사과정에서 줄줄이 고배를 마셨다.
반면 당시 집권당이었던 열린우리당(민주통합당 전신)은 현역의원 교체비율이 27.7%였다. 열린우리당이 과반을 넘는 152석을 얻었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후폭풍이 크게 작용한 결과다.
18대에서도 한나라당은 현역 의원 128명중 50명이 교체되면서 교체율은 39%로 나타났다. 열린우리당 후신인 통합민주당은 불출마 선언을 하거나 공천을 못 받은 의원을 합한 현역의원 교체비율은 22.8%에 불과했다.
선거결과는 한나라당이 153석, 통합민주당이 81석으로 보수당의 압승이었다.
이런 패배이후에 치러진 19대 총선에서도 여당의 현역교체율이 높기는 마찬가지였다.
새누리당은 전체 지역구 의원 174명 중 81명이 바뀌었지만, 민주통합당은 89명 가운데 33명이 교체됐다. 비율로 따지면 46.6% 대 37.1%다.
야당에서 현역 프리미엄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올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결과는 인물 경쟁력을 약화시켜 '선거패배→야권 지지층 이탈'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했다는 지적이다.
야당이 말하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상당부분은 스스로 자초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국민들은 물갈이 비율을 혁신의 지표로 삼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누군가가 불출마 선언하고 일정부분 컷오프해 주는 등 여당이 그런 것을 잘한다"고 말했다.
호남·학생 운동권이 양축...인물 다양성도 떨어져야당은 인물 교체비율이 적을 뿐더라 인적구성 자체도 한쪽으로 치우쳤다는 지적이 많다.
학생운동권 등 민주화 세대에 대한 대표성이 과도하게 반영되다보니 다른 분야에서는 대표성이 약해졌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