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이었던 26일 시내 극장가는 영화 <암살>을 보려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관람객들의 연령층은 다양했다. 청소년부터 젊은 연인들, 중년의 부부, 삼삼오오 몰려온 노인들까지. 인기를 반영하듯 개봉 3일 만에 누적 관객 수가 300만 명을 넘어섰다.
(사진=영화 '암살')
<암살>의 행간과 메시지가 선명하게 읽히기 시작한 시점은 독립운동가 염석진(이정재 역)이 일경에 정보를 팔아먹는 밀정(密偵)임이 드러나면서부터였다. ‘기억’과 '망각'이라는 상반된 단어가 내 머릿속에서 도르래처럼 맞물려 돌아가기 시작했다.
<암살>은 망각한 것들을 기억해 내라고, 집요하게 호소하는 영화다.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것까지 쉽게 잊어버리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잘못된 기억 습관을 꾸짖는다. 일제로부터 강점당한 수치의 역사와 조선인의 정체성이 사라져버린 무망(誣罔)의 실존과 나라 잃은 원한에다 울분까지 모두 기억하라고 한다. 그뿐 아니다. 일제에 빌붙어 호의호식했던 친일 매국노들을 기억하라고 한다. 독립군 간부가 일경의 밀정 노릇을 하며 독립투사들을 때려잡게 했던 비극도 잊지 말고 기억하라고.
<암살>은 선과 악의 ‘변신’에 대해 집요하게 물고 늘어진다. 독립투사 염석진은 김구의 총애를 받지만 자신에 대한 연민이 너무 강해, 조국 독립이라는 공동선을 향한 대의보다는 개인의 안위를 위해 시대와 타협한다. 조국과 상해임시정부와 동지들을 배신하고, 배신을 정당화한다. 파렴치한으로 변신한 것이다.
반면 살인청부업자 하와이 피스톨(하정우 역)은 타인에 대한 연민이 강한 인물이다. 살해해야 할 대상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아까워하지 않는 것을 보고 그는 반성한다. 자기 자신이 아니라 타인을 향한 그의 동정과 연민은 이타심과 애국심으로 확장되어, 그를 영웅의 자리에 올려놓는다.
(영화 암살 포스터)
<암살>은 암울한 질곡의 시대를 넘어 운 좋게 ‘살아남은 자의 슬픔’에 대해 묻고 있다. 모두가 죽고 나만이 살아남았다는 데 대한 죄책감. 살아남았으나 정작 이 같은 시대를 만들기 위해 목숨 바쳐 싸운 것인지에 대한 회한과 부끄러움.
해방 후. 반민특위로부터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나오는 독립운동의 배신자 염석진을 처단한 독립군 최고 저격수 안옥윤(전지현 역)의 얼굴은 슬픔과 허무로 뒤섞여 있다. 그녀의 총이 내뿜는 화약 연기와 허공을 울리는 총성이 안옥윤의 차가운 표정과 더불어 쓸쓸하게 기억되는 것은 왜일까. <암살>은 조국을 위해 일제와 싸우다가 초개와 같이 목숨을 버린 사람들에 대해 우리는 왜 떳떳하지 못한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하게 한다. <암살>이 던지는 숙제다.
CBS노컷뉴스 조중의 선임기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