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꼬여가는 대북·대일관계…'구호에 그친 정치권'



국회/정당

    꼬여가는 대북·대일관계…'구호에 그친 정치권'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일부를 열람하고 공개한 혐의로 지난 2013년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이 서울중앙지검에 출두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황진환기자

     

    역사적인 광복 70주년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남북관계와 한일관계는 꼬여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 정책의 실패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지만 구호만 남발하는 정치권 역시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남북관계 위기 때마다 여야 당리당략에만 몰두
    광복절을 이틀 앞둔 지난 13일 여야는 한목소리로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주년의 의미를 되새기는 발언과 행보를 쏟아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광복 70주년은 선열의 독립정을 신 되살려 범국민적 통일운동으로 승화시키는 의미 지녀야한다"면서 "동북아의 급변하는 정세를 감안할 때 한반도 통일은 생각보다 훨씬 빨리 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서울 효창공원에 위치한 김구 선생의 묘역과 3의사(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의사) 묘역을 참배하며 "우리 당은 선열들께서 몸바쳐주신 것이 조국 광복이라면 우리 후손들이 이뤄야할 건 이제 통일이란 각오로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각 당의 입장은 다르지만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이어받아 통일을 이루자는 결의에 찬 각오다.

    그러나 통일에 한발 다가서기 위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과연 정치권이 그동안 어떤 일을 해왔느냐를 돌아보면 논란만 양산했을 뿐 제대로된 기여를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지난 2013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논란이다.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여부가 이슈가 되자 여야는 남북관계 보다는 각자의 당리당략에 따라 대화록 공개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