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문학상은 벨라루스 여성 언론인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67)가 수상했다. 언론인 출신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이번이 처음이다.
8일(현지시간) 스웨덴 한림원은 "알렉시예비치의 작품은 시적 운율이 있는 문체와 우리 시대 고통과 용기를 대변한 기념비적인 문학"이라며 수상 이유를 밝혔다.
알렉시예비치는 비평가들 사이에서 상당히 오랜기간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돼온 작가다. 1948년 우크라이나에서 벨라루스 출신 군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녀는 아버지의 군 제대 후 가족 모두 벨라루스로 돌아가 정착했다.
벨라루스국립대 졸업 후 지역 신문기자로 경력을 시작한 알렉시예비치는 이후 단편 소설과 에세이, 르포 등을 쓰기 시작했다. 주로 2차대전의 실상을 드러내고 벨라루스의 독재를 비판하는 작품들을 써온 탓에 반체제적 성향이라는 이유로 상당한 탄압을 받기도 했다. 이 때문에 2000년대 초반에는 10년 간 타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기도 했다.
다큐멘터리 산문 '체르노빌의 목소리(1997)'와 같은 작품은 그녀에게 각종 상을 안겨주며 명성 높은 작가의 반열에 올린 작품이다. 소련과 아프가니스탄의 전쟁을 다룬 '아연 소년들(1989)' 등도 잘 알려져있다.
한림원은 "지난 30~40년 간 알렉시예비치는 꾸준히 소련 전후의 개인에 대해 그려왔다"면서 "그녀의 작품은 개별 '사건'의 역사에 관한 것이라기 보다는 '감정'의 역사에 관한 것이다"라고 평했다.
"체르노빌 사태나 아프가니스탄에서 벌어진 러시아의 전쟁 등 그녀가 작품 속에서 다루고 있는 역사적 사건들은 소련 전후의 개인을 탐구하기 위한 발판으로 쓰였다"라고도 설명했다.
알렉시예비치가 '다큐멘터리 산문'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도 내놨다. 1983년 쓰여진 첫 작품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2차대전에 참전했던 소련 여성들 수백 명과 한 인터뷰를 토대로 쓰여진 것이다. 이 작품은 출판 당시 200만 부 넘게 팔리며 큰 성공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