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에 육박하는 '반대 의견'에도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강행한 정부가 4일 일부 집필진과 편찬 기준을 공개한다.
군사 작전을 방불케하는 '국정화 속도전'에 국론은 갈수록 분열되고, 가뜩이나 어려운 민생과 경제는 뒷전에 밀리고 있다.
정부가 당초 예고보다 이틀 앞당겨 국정화 고시를 전날 확정한 데 이어, 이날 오전 11시엔 국사편찬위원회 김정배 위원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연다.
국정화 고시가 확정된 만큼, 앞으로 집필진을 어떻게 구성할지 또 어떤 기준으로 집필할 건지 설명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특히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최몽룡 명예교수를 비롯, 원로 교수 6~7명이 배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 명예교수의 경우 지난 1988년부터 2007년까지 국정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데다, 한국상고사학회장을 지냈다.
따라서 과거 국정 교과서 제작에 참여했던 인사들이 이번 집필진 구성에서도 주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정화 찬성 입장을 밝힌 동국대 이기동 석좌교수와 이화여대 신형식 명예교수, 교학사 교과서 대표 저자인 공주대 이명희 교수와 한국학중앙연구원 권희영 교수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관심을 모으는 집필기준은 사실상 황교안 국무총리와 황우여 교육부 장관이 전날 모두 공개했다. 두 사람 모두 "현행 교과서들은 편향적"이라고 입을 모은 만큼, 북한이나 친일 문제 또 군사독재 부분에 대대적 손질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황우여 장관은 △상고사와 고대사 보강 △일제 수탈과 독립운동사도 충실히 기술 △민주화의 산업화의 객관적 서술 △자긍심을 심어주는 방향으로의 서술 등 4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김정배 위원장 역시 그동안 논란이 많은 현대사는 최대한 축소하겠다고 밝혀온 만큼, 정부의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국정교과서에 그대로 적용될 전망이다.
집필진은 이날 국사편찬위 발표 내용을 토대로 이달 중순까지 30~40명선으로 구성되며, 현직 중고등학교 교사도 8~9명가량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말부터 본격적인 집필 작업에 들어가되, 대표 저자 외에 대다수 집필진은 제작이 끝난 뒤 공개될 것으로 보여 '밀실 편찬' 우려는 여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