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들이 이전 교과서들보다 여러 측면에서 일본 중심적이고 일본 정부의 의향을 더 많이 반영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시아역사교육연대가 14일 개최한 '2016년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토론회'에서 한혜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객원연구원은 2016년 일본 고교 일본사 교과서가 2014년 교과서에 비해 일본군 위안부를 어떻게 다르게 기술하는지 분석해 발표했다.
한 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도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는 영토관련 기술 이외에는 2008년 학습지도요령에 의해 기술됐다. 그러나 2014년 고시를 통해 위안부 및 강제연행에 관련한 기술에 대해서는 제한이 가해졌다.
그 결과 일부 출판사는 위안부에 대한 설명을 아예 뺐고, 다른 출판사들도 위안부를 본문에서 서술했더라도 강제성이 있었다고 읽힐 만한 기술이 제외됐다.
일본군 병사의 성 상대라는 위안부들의 피해 사실을 알 수 있는 부분도 사라졌다.
강제연행에 대해서는 동남아시아의 로무샤(강제노역 인부) 부분이 사라졌고, 숫자 등도 간략히 기술하거나 주석으로 처리했다.
2016년 지리·일본사·세계사 등 일본 고교 교과서에서의 영토 관련 기술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박삼헌 건국대 교수는 2013년에 일부 교과서만 독도를 다룬 데 비해 2016년에는 모든 일본사 교과서가 독도와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분석했다.
독도 영유권 기술 강화라는 일본 정부의 의도가 일본사 교과서에서 관철된 것이다.
지리 교과서에서도 2013년보다 독도 관련 기술이 현저히 증가했다.
특히 영토 관련 수정 지시 사항이 전혀 없었는데, 이는 검정이 약화된 것이 아니라 교과서 집필자의 자기 검열이 매우 강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박 교수는 지적했다.
세계사 교과서에서도 한일간 현안으로 '독도를 둘러싼 영토 문제'라는 기술이 나오고 '고유 영토'라는 표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박 교수는 "일본 정부의 영토 교육 강화가 그동안 거리를 뒀던 세계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 신주백 연세대 교수 등도 참석해 2016년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가 시대별, 주제별로 어떻게 이전보다 일본 중심적으로 변했는지를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