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대통령 위한 기도' 유호열 "오해다, 촛불집회도 나가"

사회 일반

    '대통령 위한 기도' 유호열 "오해다, 촛불집회도 나가"

    -집필진,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돼
    -집필진 원고를 편찬위가 수정? 말도 안 돼
    -박정희 미화? 집권 길어 분량 많아진 것
    -'대한민국 수립' 표현? 수십 년 과정 담았다
    -SNS 글 반응에 참담… 인격살인
    -대통령 잘못은 시시비비 가려야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유호열(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올바른 역사교과서는 학생들이 특정이념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는 역사관과 올바른 국가관을 가질 수 있도록 개발했다’, 어제 교육부 장관이 한 말입니다. 이런 말과 함께 역사교과서의 현장검토본과 집필진 명단을 공개했죠. 그런데 공개 후에 교과서 논란은 더욱더 뜨거워지는 양상입니다.

    자, 지금부터 양쪽의 의견을 듣고 판단하실 텐데요. 우선 집필진 한 분을 먼저 연결해 보죠. 현대사 분야 집필진 6명 가운데 한 분이세요.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유호열 교수 연결돼 있습니다. 유 교수님 안녕하세요?

    ◆ 유호열>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그러니까 현대사 부분을 집필하신 거죠?

    ◆ 유호열>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현대사 집필진 중에 현대사를 전공한 사람이 없다? 이거 어떻게 되는 겁니까?

    ◆ 유호열> 저희 현대사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있고요. (각 분야) 그 자체가 역사를 만들어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거나 아니면 대학에서 역사 그 자체를 가르치는 그런 전문가들은 아니지만요. 해당 분야에서 다 역사적 방법론이라든지 또는 역사를 주요 테마로 해서 정치사, 외교사, 군사, 경제사 이런 부분들이 저희 현대사 집필진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요. 그런 점에서는 역사 전문가가 없다 이렇게 규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희가 지난 정말 수개월 동안 함께 독회를 하면서 그 내용을 가다듬었기 때문에 역사학자, 역사를 전공했다는 분이 꼭 있어야 하는 부분은 아니고요. 어차피 이 부분은 또 감수도 하고 그런 개정하는 절차가 저는 있다고 봅니다.



    ◇ 김현정> 일단 알겠습니다. 하나 지금 또 문제가 불거진 것이 집필진들이 국사편찬위로 원고를 써서 넘겼는데, 국사편찬위에서 전혀 다른 내용으로 많이 수정이 돼서 나왔다 이런 의혹이 제기가 됐거든요. 어떻습니까?

    ◆ 유호열> 글쎄요. 저희 그 현대사 파트를 저희가 할 때는 그런 일은 있을 수 없고요.

    ◇ 김현정> 있을 수 없는 일입니까?

    ◆ 유호열> 그렇습니다. 저희 전문가들이 얼마나 자기 분야에 자부심을 가지고 연구했는데 자기가 한 것과 다른 부분이 있으면 그런 부분은 저희가 용납할 수 없고요.

    ◇ 김현정> 그러면 지금 관계자, 집필진, 다른 분들의 증언이 나온 거거든요. 내가 쓴 것과 다른 내용이 나왔더라, 이건 어떻게 된 걸까요?

    ◆ 유호열> 저희 같은 경우는 각자가 쓴 부분을 함께 현대사 파트에 넣다 보니까, 순서라든지 목차라든지 또는 특히 분량, 초기 분량은 굉장히 많았고요. 상대적으로 각자 쓰다 보니까. 그런데 이제 주어진 그 분량이 전체 교과서 그리고 현대사 파트의 한정된 분야를 축약하다 보니까, 그 부분에 있어서 우리가 정리하는 것이지 다른 사람이 거기에 글을 넣어서 새로운 뭐가 들어왔다? 그거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에요.

    ◇ 김현정> 있을 수가 없는? 적어도 현대사는 그렇다 이 말씀이세요?

    ◆ 유호열> 그렇습니다, 네.

    ‘국정교과서 집필진’ 유호열 교수 (사진=유호열 교수 페이스북 캡처)

     

    ◇ 김현정> 일단 그 부분 확인을 했고요. 지금 교과서 현장검토본이 진통 끝에 나왔는데 이걸 읽어본 400여 개 역사단체들의 모임에서는 한마디로 이렇게 평을 하더군요. ‘박 대통령 효도 교과서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유호열> 저는 그 부분은 그렇지 않다고 봐요. 박정희 대통령 시기가 특별히 우리 현대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일단 (박 전 대통령의 집권) 기간이 상당히 긴 기간 아닙니까? 거의 한 20년이 되고, 또 상당히 역동적인 시기였고요.

    그래서 이제 그런 부분을 우리가 어떻게 균형되게 특히 중고등학생들에게 우리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또 올바른 역사를 가르칠 때 어떤 부분을 우리가 강조하고 설명해야 될까 그런 부분을 고심했지, 어떤 특정인에 대한 미화나 그런 찬양해야 된다, 그런 거는 집필진 어느 누구도 그런 생각한 적 없고 그렇게 할 수 있는 상황도 전혀 아니었다, 그런 말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박정희 정권에 대한 설명이 무려 열 페이지나 달하는 것은 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었다, 이 말씀이신 거네요?

    ◆ 유호열> 그럴 수 있죠. 왜냐하면 5.16 군사정변 이후에 민선으로 바뀌고 또 3선으로 가고 또 유신으로 가고, 이렇게 (박정희 정권 때) 최소한 3번 내지 4번의 큰 굴곡이 있었기 때문에 그런 측면이 있었고요.

    ◇ 김현정> 그런데 꼭 분량만이 문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독재’라는 쉬운 단어를 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위주의 정치체제’, 이렇게 표현을 했답니다. 이건 학생들이 이해하기도 힘든 표현을 써서 이 박정희 정권의 독재, 반민주성에 대한 물타기를 하려는 거 아니냐? 좀 의도적인 부분 아니냐, 이런 지적이 나오는 건데요?

    ◆ 유호열> 저희도 그 부분에 대해서 논의를 많이 했었는데요. 저희가 독재라고 하는 부분은 독재로 표시를 한 부분이 있어요. 왜냐하면 독재라는 것은 정치학적으로 또는 법적으로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개인 독재부터 전체 독재까지) 다양하지 않습니까? 그리고 우리 정치학에서 보면 대개 독재를 권위주의와 좀 구분하는 그런 측면도 있어요, 사실은.

    저희가 박정희 정부나 아니면 우리 과거의 소위 권위주의 정부라고 일반적으로 정치학에서 얘기하는 것조차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승만 독재, 유신독재 이렇게 얘기하면 그건 독재로 우리가 쓰는 것이 낫지 않겠나 해서 독재로 기술한 걸로 그렇게 알고 있는데요.

    ◇ 김현정> 그런데 그렇지가 않답니다. 그렇게 기술한 것이 있지 않느냐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많은 부분에서 ‘독재’라는 쉬운 단어로 대치할 수 있는 부분을 ‘권위주의 정치체제’다, 이렇게 표현을 해서 이거 좀 미화하려는 거 아니냐, 이런 얘기가 있고요.

    또 하나는 유신체제에 대한 비판이 굉장히 짧게 기술이 돼 있다, 전체 열 페이지 중에. 예를 들어서 이런 겁니다.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가 대통령의 긴급조치에 의해 제한됐다’ 이 정도로 짧게 서술이 됐다, 이건 유신에 대한 문제를 너무 축소시킨 거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더군요?

    ◆ 유호열> 의도적으로 그렇게 한 건 아닌 것 같고요. 저희가 사실은 이 글을 쓸 때 각 전문가들이 자기 시대, 수 십년을 다루다 보니까 굉장히 분량이 많았어요, 사실은. 현대사 분야가 사실 할 얘기는 많은데 굉장히 압축적으로, 전체적으로 (분량이) 줄어들었어요. 그러니까 지금 유신 같은 경우에도 원래 저희들이 다 관련 집필하신 분 입장에서는 상당히 많은 분야를 다루고 그렇게 했는데요. 전체적으로 페이지 수가 전체적으로 줄어들면서 그런 부분의 규모도 줄어들었지 이 부분을 의도적으로 유신은 우리가 좀 기술하지 말자, 절대로 그런 건 없고요. 이것이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는 것은 저희가 가감없이 그렇게 하려고 최선을 다했다 그 말씀을 제가 드릴 수 있어요.

    ◇ 김현정> 여러 가지 쟁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마는 대표적인 것 한두 개만 더 짚어보죠. 일단 대한민국 건국 시기에 대한 기술 부분입니다. 1948년 8월 15일 이것을 대한민국 수립일 이렇게 결국은 기술했어요. 건국절이란, 건국일이라는 표현은 뺐고요.

    ◆ 유호열>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저희가 어제 광복회를 연결했는데 그분들 말씀은 ‘대한민국 수립일’이란 표현이나 ‘건국절’이란 표현이나 결국 마찬가지 아니냐. 이거 뉴라이트 사관이 그대로 담긴 교과서다,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 유호열> 그건 좀 지나치신 것 같고요. 저희가 이 대한민국이 뭐냐 하는 것에 대해서 우리가 개념정리할 때, 임시정부부터 시작해서 쭉 그 법통을 이어오고 또 45년에 해방이 되고 48년 5.10 선거, 제헌, 그리고 정부가 수립된 것이니까 이것을 대한민국 수립일이라고 하자, 건국이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조금 편협할 수 있고 그것을 대한민국 정부라고 했을 때는 또 너무 작은 의미일 수도 있고요.

    수십 년 동안의 과정을 이 대한민국 수립일이라고 하는 말로 이제 함축적으로 또는 상징적으로 표제어를 저희가 대한민국 수립일로 한 것이죠. 법적인 문제, 역사적인 문제 우리 정통성의 문제 이런 부분들을 다 감안하는 것이 그래도 역시 대한민국 수립이라고 하는 것이 그 모든 의미를 다 담을 수 있지 않겠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런데 이렇게 하면 자칫하면 친일세력들까지 건국 공로자로 인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친일파들 면죄부 주려는 거 아니냐, 이 얘기 계속 나오는데요.

    ◆ 유호열> 그건 있을 수 없는 얘기입니다.

    ◇ 김현정> 있을 수 없는 얘기입니까?

    ◆ 유호열> 네. 대한민국 정통성을 강조하는 역사교과서인데 거기에 어떻게 친일을 미화하고 또 그런 부분을 축소하고 집필진의 한 사람으로서 그런 건 전혀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그렇게 말씀드릴 수밖에 없네요.

    국정 역사교과서 (사진=자료사진)

     

    ◇ 김현정> 국정 역사교과서의 현대사 부분 집필자세요. 유호열 교수 지금 만나고 있는데요. 그나저나 유 교수님 SNS에 올리신 글 하나가 상당히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거 아시죠?

    ◆ 유호열> 예, 그렇습니다.

    ◇ 김현정> 이게 지난달 26일에 쓰신 글인데 제가 잠깐만 좀 보자면 ‘박근혜 대통령을 위해 기도하자. 벼랑 끝에 몰린 대통령님 곁에 책임지는 측근 하나 보이지 않는다. 사면초가. 지금이야말로 국가와 대통령님을 위해 기도할 때다. 하나님 앞에 죄가 없다고 할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이것보다 훨씬 깁니다마는. 국정교과서 집필자라는 공인이시기 때문에 또 대학의 교수이기 때문에 논란이 있을 법합니다. 설명을 좀 해 주시죠?

    ◆ 유호열> 글쎄요, 그거는 제가 10월 26일이면 우리가 이제 최순실 관련해서 파문이 일기 시작한 그 시점 아니겠습니까? 그 글을 썼을 때도 박근혜 대통령님이라기보다는 대통령님과 대한민국을 위해서 기도하자고 했을 때는 그런 어떤 혼란한 상황을 보고 (쓴 것이고), 또 제가 대학교수고 또 제가 평통 수석부의장이고 대통령님은 사실은 (그 글을 쓰기) 일주일 전에 청와대에 가서 해외지역회의 하는 과정에서 만나뵙고 직접 또 말씀도 들었습니다. 그러니 저 같은 경우는 얼마나 더 황당하고 참담하겠습니까, 그 상황이.

    ◇ 김현정> 이 페이스북에다가 글쓰기 일주일 전에 대통령 만나고 오셨어요, 직접?

    ◆ 유호열> 그렇습니다. 10월 13일날 우리가 청와대에, 520명 우리 아세안유럽자문위원님들이 함께 대통령님하고 다과회를 했었거든요. 그러니까 그런 일이 있고 열흘도 안 돼서 이런 상황이 발생하니까 사실은 개인적으로도 굉장히 참담한 그런 심정에서 시시비비를 가려야 한다, 시시비비를 가리고 제대로 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잘못이 있으면 잘못을 하고, 그런 의미로 이제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대통령이 좀 귀담아들으시고 용기를 가지셔서 올바로 판단하시기를 위해서 (기도를 하자고 쓴 글이고) 가톨릭 신자니까요.

    ◇ 김현정> 그런데 그 앞부분을 생략하셨네요, 그러면 페북만 봤을 때는 시시비비를 제대로 가리고 잘못된 걸 사죄할 수 있게 기도하자가 아니라 그냥 박근혜 대통령, 사면초가에 빠진 대통령님을 위해 기도하자고 이렇게 쓰셨어요. 그러니까 이게 오해할 만하다는 건데요?

    ◆ 유호열> 그런 의미를 가지고 (그 글에) 어떤 분이 댓글을 다셨어요. ‘왜 대통령을 위해서 기도하냐, 대한민국을 위해서 기도하지’, 그래서 제가 그분께 이어서 글을 달아 올렸거든요. 그게 바로 지금 제가 말씀드린 그 내용이에요.

    ◇ 김현정> 그러면 다시 한 번 정리를 하죠. 대통령이 시시비비를 제대로 가리고 잘못한 걸 반성할 수 있게끔 기도하자 이 말씀이신 겁니까, 이 기도의 의미는?

    ◆ 유호열>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 유호열> 그리고 그 후에도 제가 촛불시위에 갔고 제 입장을 (글을 써서) 올리기도 하고 했는데요.

    ◇ 김현정> 촛불시위도 갔다오셨어요?

    ◆ 유호열> 그럼요.

    ◇ 김현정> 그러면 지금 퇴진을 촉구하는 광화문 촛불시위에 다녀오셨다는 얘기는,퇴진에 찬성하는 그 여론 중의 하나세요? 70% 여론 중에?

    ◆ 유호열> 저는 퇴진보다는 시시비비를 (가리자는 것이고), 지금 특검도 하고 국정조사도 하고 그 경우에 따라서 지금 탄핵 논의도 하지 않습니까?

    ◇ 김현정> 시시비비를 제대로 가리자, 탄핵 결론이 나면 그걸 법적으로 따르는 것이 맞다 하는 쪽이지 무조건 감싸는 건 아니다?

    ◆ 유호열> 당연하죠. 우리 헌법의 질서가 바로 그런 부분 아니겠습니까?

    ◇ 김현정> 그러면 10월 26일에 쓴 SNS 글은 그렇지만 지금의 심정은 국정농단 정말 심각했다, 대통령이 잘못하신 부분이 있다라는 건 분명히 생각하고 계시는 겁니까?

    ◆ 유호열> 글쎄요. 지금 나오는 얘기로는 대통령께 어떤 직접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 부분에 대해서 제가 단정적으로 말씀드릴 수는 없지 않습니까?

    ◇ 김현정> 실은 SNS에 쓰신 그 글이 선량한 국민들을 향해서 국정농단 저지른 사람을 무조건 너그러이 용서하라는 듯한 의미로 지금 읽히고 말이죠?

    ◆ 유호열> 그거는 있을 수 없죠. 어떻게 우리가 사건에 대한 결과가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너그럽게 판단하라, 너그럽게 용서하라 이런 얘기는 아무도 할 수 없다고 봐요. (이 글 내용이 보도된 후) 수백 개의 댓글을 보셨으면 아시겠습니다마는 거기에 나온 걸 보면 저는 너무 참담해요. 제가 쓴 내용도 그렇고 그런 의미가 전혀 아닌데 거기에는 온갖 진짜 폄하하는, 아주 뭐라 그럴까요. 인격 살인과 같은 그런 글은 사실 누구도 원하지 않지 않습니까.

    ◇ 김현정> 예. 글도 다시 정정을 했고 촛불시위도 나는 나갔다. 오해하지 말아달라 이런 말씀이세요.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유호열> 감사합니다.

    ◇ 김현정> 국정 역사교과서 현대사 부분 집필진 중 한 분이세요. 고려대학교 유호열 교수였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