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일 국무회의에서 "몇 가지 통계만 보더라도 아세안(ASEAN)과 인도는 우리의 미래가 걸려있다고 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베트남을 "이미 우리에게 중국과 미국에 이은 제3의 수출시장"이라 언급하는 등 신남방 전략을 거듭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해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478억 달러로 2014년과 비교해 불과 3년 사이에 2배 이상 급증했다.
우리 제조업의 국가별 해외직접투자 비중을 보더라도 베트남은 2000년대 5.7%를 차지하던 것이 지난해에는 17.7%로 껑충 뛰어올랐다. 이 기간에 중국 비중은 44.5%에서 27.6%로 줄어들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2일 이런 내용의 발표자료에서 베트남의 투자유치 정책으로 우리 제조업의 해외투자 중심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리 수출 및 투자가 중국·미국 일변도에서 동남아 등으로 다변화하는 것 자체는 환영할 일이다.
미·중 수출 의존도는 2010년 35.7%에서 2017년 36.7%로 오히려 높아져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또는 사드(THAAD) 파동 같은 중국의 지경학적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중국 수출은 2010년대 전체 수출의 25%에 이를 만큼 의존도가 심화돼 여러 우려를 불러왔다.
다만 탈(脫) 중국 다변화 전략이 이번에는 베트남 편중 현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또 다른 차원에서 경계할 대목이다.
우리나라의 대베트남 누적 투자액은 192억 달러로 인도네시아(105억 달러)와 말레이시아(52억 달러), 태국(26억 달러)에 대한 투자액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다.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 7월 현재 베트남에 유입된 해외투자의 18.5%를 차지하는 최대 투자국이다.
베트남 시장에서 중국, 일본 등 경쟁국과의 경합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는 지혜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는 14일 발표한 '한·일 차이나플러스 전략 비교연구 및 시사점'을 통해 "베트남에 집중된 투자를 주변국으로 분산해 의존 리스크를 줄이고, 아세안경제공동체 출범 등 아세안의 경제통합 추세에 맞춰 역내 진출 전략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보다 먼저 동남아 진출에 나선 일본도 처음에는 태국에 집중하며 거점으로 삼았지만, 점차 역내 분업체계를 구축하며 리스크를 분산한 것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