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트위터 캡처)
"한국의 재난문자는 마스크를 어떻게 살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재난관련 정보를 누구나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중요하다."
한국의 재난 대응방식을 일본인들이 부러워하고 있다. 최근 유튜브, 트위터 등 SNS를 중심으로 한국의 긴급재난문자(CBS, Cell Broadcasting Service)가 일본 네티즌 사이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날이 갈수록 한·일간 재난대응 수준차이가 벌어지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2일 한 온라인커뮤니티에서 한국의 긴급재난문자를 캡처한 일본인의 트위터가 이목을 끌었다. 캡처된 사진은 지난 2월 충남 천안 첫 코로나19 확진자 A(47·여)씨의 이동경로를 담은 천안시청의 긴급재난문자다. 해당 문자를 본 여러 일본 네티즌들은 위치에 따라 해당 지역의 코로나19 정보를 지자체가 직접 제공하는 것에 대해 놀라워했다.
한 일본인 네티즌은 트위터에서 "한국에 유학하고 있는 친구가 (천안) 시청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다. 그녀는 평상시 서울에 머물고 있지만, 다른 동네 친구집에 놀러 가면 그 근처에 감염자가 있다며 시간별 동선을 알려주는 긴급 메시지가 온다"면서 "이런 문자라면 안심할 수 있다. 한국은 철저하게 코로나에 맞서 국민안전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고 첨부한 사진을 소개했다.
그러자 다른 네티즌이 해당 트윗에 서울 강동구에서 발송한 '확진자 추가발생' 관련 긴급재난문자 캡처를 올리며 "한국은 인근 구의 새로운 감염자 정보까지 알려주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일본 네티즌들은 "대단하다", "대응의 차이가 나라마다 난다. 부럽다." 등의 댓글을 연이어 달았다.
(사진=유튜브 캡처)
일본인 유튜버인 '코토하'는 지난달 26일 한 유튜브 영상에서 "(긴급재난문자가) 하루에 3번씩은 오는 것 같다. 기존에는 한국에 긴급재난문자가 있는지 몰랐는데 최근에 미세먼지, 코로나 때문에 자주 받았던 것 같다"면서 "긴급재난문자 중 중요한 정보는 수신거부를 해놓아도 들어온다. '시끄러워, 나랑 상관없어'라며 재난문자를 꺼버리는 사람도 있는 것 같은데, 이것까지도 고려해 알람을 끄지 못하도록 한 것은 대단하다"고 말했다.
실제 그가 언급한 수신거부 불가 긴급재난문자는 '위급재난문자'를 뜻한다. 재난문자에도 등급(위급재난, 긴급재난, 안전안내)이 있는데, 등급에 따라 차단 가능한 문자가 있고 차단이 불가한 문자가 있는 것이다. '위급재난문자'는 전쟁상황을 알리고, '긴급재난문자'는 지진· 태풍·허리케인·홍수·쓰나미·화산폭발·화재가 발생했을 때 발송된다. '안전안내문자'는 폭염·폭설·황사·미세먼지·기상특보 등을 알린다.
또다른 일본인 유튜버인 '아리수'는 긴급재난문자 외국어 번역 기능을 소개하며 "한국어를 잘 못하는 외국 사람들은 번역기능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정부는 긴급재난문자를 영어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긴급재난문자 외국어 번역서비스 체계'를 한국관광공사와 공동으로 구축하기로 협의한 상태다. 관계 중앙부처나 지자체에서 발송한 긴급재난문자를 한국관광공사로 전달하고 한국관광공사에서는 이를 영어와 중국어로 신속히 번역하여 제공하는 방식이다. 특히, 즉각적인 예‧경보 발령이 필요한 지진, 지진해일, 홍수에 대한 긴급재난문자는 자동번역을 통해 제공된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재난정보전달 체계를 개선함으로써 국내 거주 외국인 및 관광객이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긴급재난문자에 스트레스 호소?…지난 2016년 포항 지진 때와 대조적최근 여러 언론사가 온라인커뮤니티 댓글을 인용해 코로나19 긴급재난문자 관련 일부 시민들이 "발송 횟수가 너무 잦다"며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6년 경주·울산·포항 일대 지진 당시 일본의 긴급 지진재난문자를 부러워하며 '한국의 재난문자가 뒷북을 치고 있다'고 비판한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한 언론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긴급재난문자 발송도 잦아져 시민들이 피로도를 호소하고 있다면서 민감도마저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확진자 없음'이나 '손씻기 생활화' 등 일상적인 내용을 담은 재난문자가 남발돼 긴급재난문자의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6년 경주·울산·포항 지진 상황에서 "긴급재난문자가 일본에 비해 뒷북을 치고 있다. 긴급문자란 이름이 무색할 정도"라며 긴급재난문자 발송과정을 개선해야 한다며 '과잉대응'을 촉구했던 목소리와는 매우 대조적이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안보내면 안보낸다 뭐라 하고 보내면 보낸다고 뭐라 하고", "재난문자 안보나면 안 보냈다고 지*", "안 피곤합니다. 계속 보내주세요.", "난 안심되고 좋더라" 등의 기사내용과 상반된 댓글을 연이어 달았다.
한편 한국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월드컵으로 떠들썩했던 지난 2002년, SK텔레콤이 기상청과 공동으로 '기상특보 문자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이 서비스는 재해 다발지역이었던 파주, 문산 등 경기도 북부와 지리산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구축해 운용한 것으로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수집·가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예·경보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