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조선에 접근하는 혁명수비대. 연합뉴스
이란이 우라늄 농축 농도를 높이는 동시에 한국 유조선을 나포하는 동시다발적 도발 전략으로 전 세계적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특히 이란 핵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겨냥한 것이자 조 바이든 당선인의 협상 테이블 복귀를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4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모하메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트위터에 우라늄 농축과 관련 "모두가 규정을 준수하면 우리의 조치들은 모두 원상 복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란의 동시다발적 도발은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지렛대라고 인정한 셈이다.
이란은 '포르도' 시설에서 우라늄 농축 농도를 20%로 만드는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란은 2015년 핵합의 이전 포르도 시설에서 우라늄 농축 농도 20%, 무기 단계 수준 90%에 도달했다. 핵합의로 이란은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고, 미국과 영국 등 6개국은 경제 제재를 해제하기로 했다.
그래픽=김성기 기자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5월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탈퇴했다.
따라서 바이든 당선인이 핵협상에 나서 국제적 제재를 해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한국 국적의 유조선을 나포한 배경은 서울에서 십억 달러 규모의 자산이 동결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사이드 카팁자데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한국 고위 외교부 관리가 원유 수출대금 동결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이번주 테헤란을 방문할 예정"이라며 "이번 방문이 교착상태에 빠진 협상의 마지막이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알자지라가 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이란은 최근 몇 달 동안 트럼프 행정부가 제재를 가하기 전 원유 대금 70억 달러(약 7조 5700억원)를 동결했다며 압박 수위를 높여왔다. 이란 중앙은행은 지난달 한국은행이 코로나19 백신을 구입하기 위한 자금을 동결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이란이 페르시안 걸프만에서 항해의 권리와 자유를 위협하고 있다"면서 "국제 사회의 제재 압박을 줄이기 위한 강취"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란이 나포한 한국 국적 유조선을 즉시 석방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