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법의학자 유성호 "구미 3세, 부검했지만 무소견 가능성도..."

사회 일반

    법의학자 유성호 "구미 3세, 부검했지만 무소견 가능성도..."

    법의학자 전국에 50명 정도 활동
    최후의 증거 부검, 정확성이 핵심
    부검 마쳐도 10%는 원인 못 찾아
    구미 사건 DNA 검사 틀릴 수 없어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2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유성호 (법의학자, 서울대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교수)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정인이 사건. 정인이 사건 마무리도 되기 전에 구미 3세 사건이 또 발생했죠. 부모에게 버려진 아이들입니다. 이 사건의 공통점은 사건의 결정적인 키를 숨진 그 아이들이 쥐고 있다는 거예요. 하지만 죽은 아이들은 말을 못 하죠. 이렇게 억울하게 죽은 이들을 위해서 최후의 증인이 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법의학자입니다. 우리나라에 단 50명밖에 없는 전문가입니다. 특히 요즘 미스터리한 범죄가 많아지면서 이분들의 역할이 더더욱 주목받고 있는데요. 오늘 화제의 인터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법의학자 유성호 교수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교수님.

    ◆ 유성호> 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김현정> 제가 몇 년 전에 내신 저서를 봤어요.

    ◆ 유성호> 네.

    ◇ 김현정> 그런데 제목이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제목이 너무 섬뜩했는데 읽다 보니까 와, 이 제목이 정말 이 직업을 쉽게 정확하게 설명했구나 싶더라고요. 법의학자, 어떤 일을 하는 사람입니까?

    ◆ 유성호> 쉽게 생각하시면 부검을 하는 의사라고 생각을 하시면 될 것 같고요. 그런데 이제 법의학이라는 게 법률과 관련된 의학이라는 뜻이 있어서요. 부검도 하지만 혹시 법률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의학적 사항을 자문하고 실행하고 또 연구하는 학문을 담당하는 사람을 법의학자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국과수에서 DNA 검사하고 이거와는 별개인 거죠?

    ◆ 유성호> 그렇죠.

     

    ◇ 김현정> 법의학자들은 부검을 하는 부검의입니다. 우리나라에 정말 50명밖에 없어요?

    ◆ 유성호> 어떻게 세느냐에 따라서 사람 숫자가 달라지는데요. 저희가 창피하니까 은퇴하신 선생님들까지 모두 세면 60명 가까이 되는데요.

    ◇ 김현정> 너무 적어서 좀 창피하시니까. (웃음)

    ◆ 유성호> 은퇴하신 분들도 지금 다시 모셔왔고 현역에서 일도 하시고 그러는데요. 실제 지금 하고 있는 분들은 한 50명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김현정> 어디 단체로 학회를 가거나 세미나 가고 이럴 때도 버스를 같이 타지 않는다.

    ◆ 유성호> 그게 이제 농담 반, 진담 반이었는데 저희가 제주도에서 학회를 한 적이 있는데 저녁식사를 하러 버스 대절을 해서 가려고 그러는데.

    ◇ 김현정> 식당에.

    ◆ 유성호> 어떤 선생님이 우리 다 같이 타고 가다가 큰일 나면 어떡하냐, 이런 웃픈 이야기여서.

    ◇ 김현정> 웃프네요. 같이 가다가 워낙 적으니까.

    ◆ 유성호> 그렇죠.

    ◇ 김현정> 같이 큰 일 나면 안 된다 할 정도로. 그런데 시신을 부검해서 답을 찾아내는 것까지가 임무인데 부검을 해도 도저히 실마리가 잡히지 않는 경우도 더러 있을 것 같아요?

    ◆ 유성호> 당연히 있죠. 무소견 부검이라고 해서 부검을 해서도 전혀 알 수 없는 게 한 10%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김현정> 10%나 돼요?

    ◆ 유성호> 그러니까 전혀 실마리가 없는 경우를 무소견 부검이라고 하는데요. 예를 들면 최근에도 남녀가 뭔가 문제가 있어서 한쪽 성이 사망을 했는데 그런데 병원에서 뇌사상태로 꽤 오랫동안 누워 있는 바람에. 그렇게 되면 부검을 하더라도 증거라든지 이런 게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러니까 부검을 해서도 실마리를 얻지 못하는 그런 경우가 꽤 10% 정도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김현정> 10% 정도는 부검을 해도 그 죽은 이의 한을 풀어줄 수가 없는 거.

    ◆ 유성호> 그렇죠. 이게 질병인지 손상인지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죠.

    ◇ 김현정> 그럴 때는 정말 답답하시겠어요. 앉으나 서나 그 생각나시겠어요.

    ◆ 유성호> 답답은 하더라도 저희는 근거에 의해서 움직일 수밖에 없으니까요.

    ◇ 김현정> 근거에 의해서 움직일 수밖에 없다, 이 말씀이 참 중요한 게 뭐냐 하면 법의학자는 확실한 증거로만 진실을 말합니다. 그런데 가끔 얼토당토 않은 엉터리 전문가들이 사건을 자극적으로 만들려고 보면 황당하다, 이렇게 책에 쓰셨더라고요. 대표적인 예로 문경 십자가 시신 사건, 여러분 아시죠? 이 사건을 접하면서 그런 느낌이 드셨다고요.

    ◆ 유성호> 사실은 얼토당토라는 얘기도 좀 자극적이긴 한데요. 제가 썼어도. 그런데 이제 과학적 근거로 얘기하면 사실은 그렇게까지 주장할 수 없는데 머릿속으로 많은 상상을 해서 근거가 없는 상태를 이야기하는 게 만약 언론에서 그대로 받아들여진다면 그 자체가 문제가 된다는 건 아마 더 잘 알고 계실 것 같고요.

    ◇ 김현정> 그렇죠.

    ◆ 유성호> 저희는 얘기를 할 때도 딱 근거에 있는 거에 한정해서 얘기할 수밖에 없어서 사실은 그런 근거 없는 이야기, 증거 없는 이야기를 들을 때는 답답한 마음이 분명히 있죠.

    ◇ 김현정> 그 당시에 경찰은 타인의 DNA가 현장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실행계획서가 쭉 나왔고 자살이 가능하다 해서 자살로 결론을 냈는데 시중에서는 그럴 리가 없다, 이거는 타살이다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왔거든요.

    ◆ 유성호> 상황이 너무 극적이라서 그렇게 상상은 할 수 있었는데요. 현장에서 가리키는 상황은 모두 자살에 합당한 소견이기는 했습니다.

    ◇ 김현정> 게다가 법의학자가 볼 때는 자살이 가능하냐잖아요, 이게. 그런데 가능한 거예요?

    ◆ 유성호> 자살이 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숨진 구미 3세 여아의 친모 석모씨. 연합뉴스

     

    ◇ 김현정> 이런 것들. 증거에 의해서 마지막을 갈라주는 역할. 이런 게 법의학자의 역할인데 그런데 부검을 통해서 진실이 명확히 보이는 경우는 그나마 낫습니다마는 방금 전에 말한 그 10% 같은 경우 혹은 아예 부검도 못 하는 경우가 바로 이번 구미 3세 여아 사건.

    ◆ 유성호> 구미 3세 여아는 사실은 부검을 했고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부검을 했습니다. 아직 최종 발표가 안 나서 아마 다들 답답해하고 계실 것 같은데.

    ◇ 김현정> 부검이 불가능했다, 이런 보도들이 있던데 했군요?

    ◆ 유성호> 했습니다. 그래서 분석을 하고 현재까지는 좀 더 정밀검사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그런데 그렇게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은 워낙 부패가 심해서 미이라화 된 건조가 된 상태라서 그래서 아마 그렇게 알려져 있는 것 같습니다.

    ◇ 김현정> 시도는 했지만 아까 말씀하신 무소견일 가능성이 워낙 커서.

    ◆ 유성호> 그럴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 김현정> 불가능하다는 얘기가 나온 거였군요. 그런 걸 보면 너무 안타깝지 않습니까?

    ◆ 유성호> 안타깝죠.

    ◇ 김현정> 그럴 때 참 황망한 느낌이.

    ◆ 유성호> 말씀하신 대로 실제로 부검을 안 한 사례도 꽤 있습니다. 그러니까 했어야 되는데 안 해서 진실이 밝혀지지 않는 케이스도 있어서 말씀하신 대로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유효한 면이 있죠.

    ◇ 김현정> 구미사건 이야기가 나온 김에 법의학자니까 제가 여쭙습니다마는 국과수가 DNA 검사를 4번이나 했는데 이게 틀릴 수도 있어요?

    ◆ 유성호> 틀릴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당시에 부검을 저희 부검의도 잘 아시는 분인데 부검의 조직을 사망한 아동에게서 채취를 했고 또 분석기술이 STR이라고 조금 얘기가 어렵지만 이게 사실은 바뀌거나 변경되기 어려운 99.9가 뒤에 4개 이상이 붙는.

    ◇ 김현정> 9999.

    ◆ 유성호> 그렇죠. 4개 이상이 붙는 벌써 40년이 넘는 확고한 기술로 자리 잡은 것이기 때문에 이건 바뀔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시신에서 정확한 채취를 했고 또 여성에게서도 정확한 채취를 했기 때문에 이거는 이제 수사기관에서 좀 더 밝혀야 되겠죠.

    ◇ 김현정> 그렇군요. 그러니까 이게 시신이 아니라 그냥 집에 있는 머리카락 어디서 채취하고 이게 아닌 거네요?

    ◆ 유성호> 그랬다면 저희가 충분히 의심해 볼 수 있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법의학자 유성호 교수 여러분 지금 만나고 계십니다. 아니, 그런데 서울의대 졸업하시고 일반적인 길로 갈 수도 있었을 텐데 어떻게 이렇게 흔치 않은 길로 들어서셨어요?

    ◆ 유성호> 많이들 물어보고 저희 동기들도 신기해하는 건데. 본과 4학년 졸업반 때 강의를 해 주시는 교수님이 이윤성 교수님이라고 있어요.

    ◇ 김현정> 네, 법의학자 이윤성 교수님.

    ◆ 유성호> 네, 그래서 너무나 즐겁게 들었고 중요한 일인 것 같아서. 그때 마음을 굳히고 하게 됐죠.

     

    ◇ 김현정> 그런데 이게 아무리 직업이라지만 그리고 사명감이라지만 매주 시신을 마주하시는 거잖아요. 이게 버겁지는 않으세요?

    ◆ 유성호> 버겁지 않습니다. 적절한 표현인지 모르겠지만 은행원 돈 세듯이 자신의 루틴 일을 하다 보면 이 일이 중요하다는 일도 또 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면 무섭다거나 지겹다거나 이런 감정보다는 잘해야겠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죠.

    ◇ 김현정> 그야말로 사명감.

    ◆ 유성호> 그런데 요즘은 사명감이라고 그러면 다들 싫어하시더라고요. 그놈의 사명감 이래서. 그래서 조금 더 사명감이라는 말보다는 제 일을 사랑하고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하니까요.

    ◇ 김현정> 본인이 다루셨던 사건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부검 건은 어떤 건가요?

    ◆ 유성호> 조금 아침이라서 그렇긴 한데요. 굉장히 끔찍한 100번 이상의 손상. 칼에 의한 손상을 입은 여성분이 그때 부검을 굉장히 오랜 시간 동안, 왜 오래 해야 되냐면 손상 하나하나를 분석해야 되다 보니까요. 그렇게 하다 보니까 보통은 감정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어떤 공감이라든지 이런 거를 배제하려고 노력하는데 그때는 얼마나 인간이 어떻게 악해질 수 있나, 이런 마음이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그 기억은 여전히 선명하고요.

    ◇ 김현정> 끝까지 안 풀려서. 이거는 정말로 내가 이 죽음을 풀어주고 싶은데 방법이 없다 했던 이런 사건은...

    ◆ 유성호> 제가 말씀드렸던 분명히 범죄적인 정황은 있는데. 남녀가 함께 있었는데 여성이 사망한 채 발견됐는데.

    ◇ 김현정> 아까 그 뇌사사건 말씀하시는 거예요.

    ◆ 유성호> 뇌사. 그러니까 꽤 오랫동안 병원에서 치료를 해야 되잖아요. 그러니까 살리려고 노력하다 보니까 오랜 기간 병원에 있다 보니까 이미 부검을 했을 때는 혈액이라든지 어떤 증거가 확실한 게 없어서요. 경찰분들도 너무 안타까워하고. 왜냐하면 분명히 정황상 그래서 뭔가...

    ◇ 김현정> 그러면 결국 미제로 끝났어요?

    ◆ 유성호> 현재 그렇죠. 미제일 수밖에 없죠, 근거가 없다 보니까. 그럴 때 많이 안타깝죠.

    ◇ 김현정> 저는 그런 생각이 들어요. 법의학자는 우리 사회의 민낯을 보는 사람들이다. 개인의 비극을 마주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시대의 비극을 또 목격하는 분들이에요. 예를 들면 대구지하철참사. 이 사고 당한 분들이 오면, 시신들이 오면 부검의들이 신원 가려주는 역할도 다 하시는 거잖아요?

    ◆ 유성호> 그렇죠.

    ◇ 김현정> 그런 거라든지. 세월호 참사도 마찬가지였을 거고. 또 백남기 농민의 죽음, 이런 것도 다 부검을 통해서 어떤 이유인가 밝혀내는 분들이 다.

    ◆ 유성호> 그래서 저희 동료인 국과수에 계신 선생님들이 정말 고생을 많이 했어요. 대구도 그렇고 세월호 사건 때도 굉장히 고생을 많이 해서요. 다만 누군가는 분명히 해야 될 일이고. 그래서 이렇게 알아주시는 분들이 있으니까 감사합니다.

    ◇ 김현정> 요즘은 자살로, 스스로 목숨을 끊으시는 분들의 경우도 다 판명을 해 주신다고 제가 들었어요.

    ◆ 유성호> 왜냐하면 이게 혹시 정확하지 않을까 봐 문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경찰에서도 많이 신경을 쓰고요. 그런데 우리나라가 OECD에서 자살이 1위예요. 이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개인적으로 일주일에 두 번씩 부검을 하는데요. 월요일과 금요일. 그때마다 빠지지 않고 자살 예가 있어서 굉장히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죽은 자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분. 제가 아까 사명감 얘기하지 말라고 그러셨는데도 자꾸 사명감이라는 이야기를 하게 돼요. 지치지 마시고요. 그리고 무엇보다 후학을 많이 키워주시기를. 그래서 버스 같이 타고 다니실 수 있기를.

    ◆ 유성호> 알겠습니다.

    ◇ 김현정> 기대하고 응원하겠습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법의학자 유성호 교수님, 대단히 고맙습니다.

    ◆ 유성호> 감사합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