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제공 8세기 통일신라시대 금속 세공기술의 세밀함을 보여주는 금박유물 '선각단화쌍조문금박'이 처음 공개된다.
'선각단화쌍조문금박'은 2016년 11월 경주 동궁과 월지 '나' 지구 북편 발굴도사 중 출토됐다. 출토 당시 두 점이 형체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구겨지고 분리돼 있었는데 보존 처리를 통해 당초 하나의 개체임을 확인했다.
금박(가로 3.6㎝·세로 1.17㎝)은 순도 99.99%의 정선된 순금 0.3g을 두께 0.04㎜로 얇게 펴서 만들었다. 여기에 새와 꽃 문양을 조밀하게 새겼다. 사람 머리카락 굵기(0.08㎜)보다 가는 0.05㎜ 굵기의 선으로 좌·우측에 멧비둘기 두 마리, 중앙부와 새 주위에 단화(團華·꽃을 위에서 본 형태를 연상시키는 의장)를 새겼다.
금박에 새긴 단화쌍조문은 형식화된 서역의 문양과 달리 사실적이다. 멧비둘기는 깃털 표현을 다채롭게 하고 몸집의 크기와 꼬리 깃털 형태를 달리 해 암수를 구분했다. 문화재청 측은 "금속공예 영역을 넘어 통일신라시대 회화 영역에 있어서도 의미있다"고 평가했다.
문화재청 제공 매우 가는 철필(鐵筆)로 새긴 문양은 육안으로 판별이 거의 불가능해 돋보기나 현미경으로 봐야 한다. 문화재청 측은 "8세기 통일신라시대 금속공예의 정수를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유물 중 가장 정교한 세공술을 보여준다"며 "금박의 문양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장인의 뛰어난 미술적 감각과 함께 마이크로 단위의 세밀한 금속 세공술을 엿볼 수 있다"고 전했다.
금박의 문양에 따로 매달 수 있는 구멍이 없다는 점을 미뤄봤을 때 기물에 직접 부착한 장식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측은 "현재로선 비교할 만한 사례가 없지만 유물의 형태로 볼 때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기물의 마구리로 추정된다"며 "육안으로 식별조차 힘들 만큼 도안이 미세해 장식적 요소를 넘어 신에게 봉헌하기 위한 기능일 수도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선각단화쌍조문금박'은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에서 '3㎝에 담긴, 금빛 화조도' 특별전을 통해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