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가 정부 수립 이후 72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가운데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도 심화됐다.
특히 경북은 인구 감소는 물론, 고령화 현상도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통계청은 지난해 실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4만 명으로 2020년 조사보다 9만 1천 명 줄었다고 밝혔다. 내국인은 4만 5천 명, 외국인은 4만 6천 명이 감소했다.
인구가 줄어든 것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1949년 집계를 시작한 뒤 처음 있는 일이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1365만 3천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이 947만 2천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부산 332만 4천명, 경남 330만 6천명, 경북 263만 5천명 순이었다.
경북 인구는 2016년 268만 2천명에서 지난해 263만 5천명으로 4만 7천명 가량 줄어 증감률은 –1.7%를 기록했다.
특히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인구 감소율이 높은 10개 시군에 경북은 무려 4곳이 포함돼 17개 광역 시도 중 가장 많았다.
군위군 –3.7%(하위 226위)를 비롯해 울릉군 –3.3%(하위 224위), 고령군 –3.2%(하위 223위), 청도군 –3.2%(하위 220위)로 조사된 것이다.
심각한 경북지역의 고령화 현상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58만 1천명으로 전년보다 2만 3천명 늘었고, 노령화지수는 201.9로 전남의 210.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노령화지수 상위 10개 시군구 중 경북은 4곳이 포함돼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군위군이 880.1로 전국 229개 시군구 중 가장 높았고, 의성군이 771.6으로 2위, 청도군 657로 4위, 청송군 640.7로 5위의 불명예를 안은 것이다. 반면 세종시는 노령화지수가 49.9에 불과했다.
노령화지수는 0세에서 14세까지의 유소년층 인구에 대한 65세 이상의 노령층 인구의 비율을 말한다.
이 같은 고령화현상으로 인해 노년부양비(생산 가능 인구 100명당 돌봐야 하는 노년 인구 비율)는 32.9를 기록해 가장 낮은 세종의 13.8에 비해 2.3배가량 높았고, 경북의 중위연령(전체 인구를 연령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사람)도 48.7세에 달했다.
지역 행정기관 관계자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에다 수도권 집중 가속화로 경북지역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현상은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며 "인구 유입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지만 지방정부의 한계도 뚜렷해 고심이 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