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나스트 백혜선. 마스트미디어 제공 "알고보면 저는 '좌절의 스페셜리스트입니다."
1994년 한국인 최초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3위 입상, 1995년 서울대 음대 최연소 교수 임용, 미국 뉴잉글랜드 음악원 교수 재직.
피아니스트 백혜선(58)의 이력이다. 이력만 보면 음악가로서 성공가도를 질주했을 것 같지만 알고보면 실패한 경험이 훨씬 많다. 최근 펴낸 첫 에세이 '나는 좌절의 스페셜리스트입니다'(다산북스)는 그가 맛본 좌절의 순간들이 빼곡하다.
199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백혜선이 피아노 앞에 앉자 관객들은 비웃음을 지었고,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피로하고 무관심했다.
백혜선은 30일 서울 강남구의 한 복합문화공간에서 열린 '나는 좌절의 스페설리스트입니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당시 동양인 남성 연주자가 콩쿠르 무대에 오르면 관객들이 원숭이 구경하듯 했다. 동양인 여성 연주자가 나오면 더 심했다"고 회상했다.
그때 스승인 변화경의 말을 떠올렸다. "오늘 무대 위에서 네가 할 일은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거야."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연주를 시작했다. 그리고 연주가 끝난 후 백혜선이 마주한 건 끊이지 않는 박수갈채였다.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1위 없는 3위에 입상한 직후 서울대 음대 최연소 교수가 됐지만 10년 만에 교수직을 내려놓았다. "음악은 귀로 하는 건데, 귀를 망치는 환경에서 음악을 하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죠."
'외국에서 승부를 보자'. 호기롭게 사표를 내고 미국행 비향기를 탔다. 홀로 두 자녀(1남 1녀)를 키우며 생계형 피아니스트로 살았다. "7~8년간 지방을 돌면서 연주만 했어요. 인생을 포기할 생각도 했죠." 백혜선은 이후 클리블랜드 음악원 교수를 거쳐 현재 모교인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제자를 양성하고 있다.
피아니스트 백혜선. 마스트미디어 제공
4살 때 처음 건반 앞에 앉은 뒤 50년 넘게 음악인생을 일구고 있다. 하지만 백혜선은 "이 책은 자서전이 아니라 그저 인생의 여러 순간을 담았을 뿐"이라고 했다.
"변화경 선생님이 늘 '자서전은 함부로 쓰는 게 아니'라고 말씀하셨어요. 제가 대단한 업적을 이룬 사람도 아니고요. 그럼에도 책 출간을 결심한 건 저와 인연을 맺은 이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어서죠. 지난 몇 년간 어머니를 포함해서 사랑하는 사람들을 너무 많이 떠나보냈어요. '세상에 영원한 건 없구나' '하루하루가 굉장히 소중하구나' 느꼈죠." 백혜선은 울먹거렸다.
최근 한국 클래식 음악계는 젊은 천재들이 쏟아지고 있다. 백혜선은 "K클래식의 부흥을 이끄는 임윤찬, 조성진 등을 보면 자랑스럽다"면서 "나이 들어가는 연주자가 할 일도 분명히 있다. '가슴을 울리는 음악', '좋은 책을 읽은 것 같은 음악'을 들려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 책 출간을 기점으로 연주자로서 국내에서 더 활발히 활동할 계획이다. 4월 독주회(서울 예술의전당)를 열고 11월에는 인천시립교향악단과 브람스 협주곡을 협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