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초·중학생 10명 중 3명은 코로나19로 불안·우울·스트레스 등을 겪었지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 경우는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코로나19 시기 학생의 심리정서 실태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6월 20일~7월 22일 초등학생 9607명과 중학생 1만3856명, 초·중학교 교직원 2869명(총 2만6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
학생들의 29%(6750명)는 코로나19 시기 우울·불안·스트레스로 힘든 적이 있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들 중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 경우는 43%(2883명)에 그쳤고, 57%(3867명)는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
사진공동취재단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이유로는 '어차피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가 32%(1045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도움 요청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23%, 871명), '마음을 터놓고 편하게 이야기할 사람을 찾지 못해서'(19%, 744명) 등의 순이었다.
반면 우울·불안·스트레스를 경험한 후 도움을 요청했다는 학생들은 주로 부모(조부모)를 상담 대상으로(80%, 2302명) 꼽았고, 친구(43%, 1249명), 형제·자매(17%), 담임 교사(14%)가 뒤를 이었다.
교직원 설문에서는 △집중력 저하 △짜증·불만 증가 △자존감 저하 등 18가지 심리·정서 문제를 제시하고 코로나19 시기에 이런 문제를 겪는 학생이 늘었는지 물었다.
한국교육개발원 제공그 결과 '개인 정서' 영역에서는 '집중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가 95.1%에 달했다. '충동·감정조절이 안 되거나, 학습에 무기력한 학생들이 늘고 있다'는 응답도 각각 91.4%와 91.0%를 차지했다.
'자기 이해 및 관계 형성의 문제' 영역에서는 '공동체 의식과 배려가 부족한 학생들'(88.1%), '친구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85.3%), '공감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84.3%)이 늘었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이런 문제를 가진 학생들을 교육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5점 척도)를 조사한 결과 '충동·감정조절이 안 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어려움(4.02점)이 가장 높았다.
한국교육개발원 제공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있을 경우(최대 2개 복수응답) 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 등 학교 전문인력과 협력(56.2%)하거나 학부모와 상담(38.1%)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교사들은 학생을 이해하거나 돕는 데 가장 방해가 되는 요소로 '학부모(보호자)의 비협조'(55.8%)를 꼽아 '과중한 업무'(43.4%)나 '학생의 비자발성'(35.1%) 등의 답변을 앞질렀다.
연구진은 "학생의 심리·정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부모의 협조 및 지원이 이뤄져야 하고, 또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교사에게 심리·정서 문제별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학생 상담과 지원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자문과 코칭을 통해 상담 역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