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임영웅·송가인에 지갑 연 5060 장년층, K팝 '큰손' 부상



미디어

    임영웅·송가인에 지갑 연 5060 장년층, K팝 '큰손' 부상

    음원 앱 이용자층, 50대가 10대 이용 시간 제쳐
    트로트 오디션 가수들 인기에 팬덤 두터워져

    가수 임영웅. 연합뉴스 가수 임영웅. 연합뉴스 '아이돌' 팬덤으로 대표되는 대중음악 시장에서 소외됐던 50~60대 중장년층이 K팝 시장의 '큰손'으로 부상하고 있다.

    11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분석한 '2012-2022 모바일 음악 콘텐츠 이용 시간의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50~59세의 월 평균 모바일 기기 음원 서비스 이용 시간은 19억 8000만 분이었다. 이는 19~29세(55억 9000만 분), 30~39세(43억 5000만 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치다.

    이 통계는 닐슨미디어코리아의 코리안 클릭 데이터의 연도별 모바일 음원 서비스 앱 월 평균 이용 시간에 따르면 전년 대비 연령별 이용 시간 증가율을 살펴봐도 50~59세 172.0%, 60~69세 205.2%로 13~18세 146.8%를 크게 웃돌았다.

    가요계에서는 2020년부터 불어 닥친 트로트 오디션 열풍 이후 장년층 팬들이 대거 K팝 소비자로 유입된 현상에 주목한다. 무엇보다 임영웅, 송가인, 김호중, 영탁 등 오디션 출신 가수들이 트로트에 머무르지 않고 발라드, 팝, 클래식 등 가창력과 무대 호소력을 앞세워 장년층을 K팝 소비 시장으로 끌어들였다는 평가다.

    특히 이는 아이돌 그룹의 주 수요층으로 여겨지는 13~18세 10억5000만 분의 약 2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젠 방송가 음악방송 프로그램 녹화 현장에서 팬덤 회원들이 같은 옷을 맞춰 입고 응원 도구를 이용해 질서정연하게 공연 관람을 하는 장년층의 모습도 쉽게 볼 수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제공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제공 팬덤의 '화력'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인 한터차트 기준 첫 주 판매량에서 임영웅(110만 장), 김호중(68만 장), 이찬원(57만 장), 영탁(52만 장) 등 장년층 팬을 주력으로 둔 가수들은 케이팝 아이돌 못지않은 인기를 자랑한다.

    멜론의 이용자 선호 가수와 '팬 맺기' 기능에서 가수와 팬을 맺은 50대 이상 비율이 임영웅 52%, 김호중 66%에 달했다. 이뿐 아니라 방탄소년단(BTS) 12%, 세븐틴 10%, 블랙핑크 12% 등 아이돌 그룹의 팬도 장년층이 10%를 넘겨 '숨은 존재감'을 과시했다.

    예스24가 자체 집계한 연도별 콘서트 티켓 구매자 연령 데이터 기준 50대 이상 구매자 비율은 2019년 5.5%에서 지난해 9.7%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지난해 예스24 콘서트 티켓 판매 상위 10위에도 NCT 드림(1위)과 NCT 127(2위)에 이어 임영웅(3~4·6~7·9~10위)과 조용필(5위) 같은 장년층 관객의 공연이 두각을 나타냈다.

    온라인 결제에 익숙지 않은 부모를 대신해 자녀가 예매하는 경우도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장년층 관객 비중은 더욱 클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13~18세는 2017년까지 20대에 이어 (음원 앱) 핵심 이용자층으로 자리해왔으나 2017년부터 뚜렷한 이용 시간 감소세를 보였다"며 "지난해에는 50대가 13~18세의 이용 시간을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