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6월 모평' 국어 쉽고, 수학 어려워…표준점수 최고점 15점차



교육

    '6월 모평' 국어 쉽고, 수학 어려워…표준점수 최고점 15점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3 수험생들이 1일 서울 송파구 방산고등학교에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3 수험생들이 1일 서울 송파구 방산고등학교에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 1일 치러진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는 쉽게, 수학은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을 보면 국어 영역은 136점, 수학은 151점으로 지난해 수능에 비해 각각 2점과 6점이 올랐다. 표준점수는 시험이 어려웠는지 쉬웠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 성적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지고, 시험이 쉬우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다.
     
    국어와 수학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는 15점으로 지난해 수능 11점보다 4점이 더 벌어졌다.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는 1492명으로 지난해 수능 때 371명보다 크게 늘어난 반면 수학 만점자는 648명으로 지난해 수능 때 934명보다 줄었다.
     
    절대평가로 등급만 나오는 영어 영역은 1등급 학생 비율이 7.62%로 지난해 수능(7.83%)과 비
    슷했다. 역시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의 1등급 비율은 14.18%였다.
     
    탐구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사회탐구의 경우 생활과 윤리가 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문화가 66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는 지구과학Ⅱ가 98점으로 가장 높고 물리학Ⅰ이 69점으로 가장 낮았다.
     
    절대평가인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 1등급 학생 비율은 3.80~22.60%였다.
     
    수학의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미적분 48.5%, 확률과 통계 47.8%, 기하 3.7%였다.
     
    특히 수능에서 선택과목별 유불리가 나타나면서 6월 모의평가 기준으로 수학에서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이 48.5%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학생(47.8%)을 처음 넘어섰다.
     
    국어의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화법과 작문'이 59.2%, '언어와 매체'가 40.8%였다.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학생 비율은 지난해 수능 35.1%보다 5.7%p 증가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국어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136점으로 6월 모의평가 기준으로 최근 8년 사이 가장 쉽게 출제된 반면, 수학은 151점으로 최근 8년 사이 가장 어렵게 출제됐다"고 밝혔다.
     
    임 대표는 이어 "국어 수학간 점수차가 더 크게 발생해 이과생들이 인문계열로 교차지원하는 이른바 문과침공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가 전날 공개한 국·영·수 킬러문항(초고난도문항) 사례를 보면 2021학년도 수능에서 1개, 2022학년도 수능 7개, 2023학년도 수능 7개,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 7개 등 총 22개며, 영역별로는 국어 7개, 수학 9개, 영어 6개다. 6월 모의평가만 놓고 보면 국어 2개, 수학 3개, 영어 2개다.
     
    6월 수능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38만1673명이었다. 재학생은 30만6203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이 7만5470명이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