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양육 스타트업 '스페이스에프'의 배양육 기술 소개. 스페이스에프 제공 "이 돼지고기 언제 나온 거에요?"
"네 고객님, 지난주 배양해 어제 실험실에서 수확한 신선한 배양육입니다."
어쩌면 멀지 않은 미래에 마트에서 이런 대화가 이뤄질 수 있겠다.
육식 중심의 식생활에서 비건 등 대체육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환경오염을 줄이면서도 진짜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배양육'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식물성 대체육은 콩과 버섯, 해조류 등 식물성 재료로 고기를 흉내 낸 제품이지만, 배양육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실험실에서 진짜 '고기'를 만든다.
실험실에서 만들어낸 '랩 다다이아몬드'처럼배양육 역시 실험실에서 세포를 배양해 수확하는 게 특징이다.
푸드테크의 한 분야로 꼽히는 배양육은 가축으로부터 줄기세포를 채취해 배양해 실험실 내에서 농축산물을 생산한다.
배양육을 개발중인 국내 스타트업 기업 스페이스에프는 "배양육은 동물 사육과 도축 없이도 동물성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어 환경과 경제, 윤리 문제에서 자유롭다"고 설명한다.
"흔히 콩고기라고 불리는 대체육과 다르게 배양육은 고기의 맛과 큰 차이가 없는 게 장점입니다."
서울대와 세종대 연구진들과 함께 배양육을 연구개발중인 스페이스에프는 지난해 초 배양육으로 만든 소시지와 햄버거 패티, 치킨 너겟 시제품을 발표해 식육 전문가와 유통기업 담당자를 초청해 시식회를 열었다.
스페이스에프 관계자는 "시식회에서 항목별 평균 점수에서 5.0점 중 4.6점을 얻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배양육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시장의 성장 가능성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계 푸드테크 시장규모는 약 5542억 달러(약 665조원)에 달하고, 2017년부터 2020년까지 3년 동안 연평균 약 38%의 고성장을 기록중이다.
전세계 단백질 시장에서 대체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기준 약 2% 수준으로 미미하지만, 현재의 고성장세를 지속한다면 2035년 약 11%까지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대체육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대안육 시장 규모는 약 256억 원으로 지난해 약 244억 원 대비 약 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유통 대기업들도 대체육 시장에 발빠르게 뛰어들고 있다.
지난 2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스타필드 코엑스몰 지하 1층에 위치한 신세계푸드의 식물성 대안식 레스토랑 '유아왓유잇(You are What you Eat)'에서 모델들이 식물성 재료로 만든 간편식과 메뉴를 소개하고 있다. '더 나은 나와 지구를 위한 맛있는 식물성 대안식'을 콘셉트로 선보인 '유아왓유잇' 매장에서는 100% 식물성 재료로 만든 런천 김치덮밥, 볼로네제 라자냐, 라구 리가토니 등 식물성 간편식(PMR, Plant-based HMR)을 비롯해 저탄소 요리로 개발한 함박스테이크, 후토마키, 트러플 자장면 등 20여 종의 메뉴를 트렌디한 분위기에서 즐길 수 있다. 신세계푸드 제공 풀무원과 농심은 비건 레스토랑을 직접 운영하고 있고, 신세계푸드 역시 최근 식물성 대안식 레스토랑을 정식 오픈했다. 맥도날드, 던킨도너츠, 스타벅스 등 다수의 외식 업체들도 다양한 대체식품 업체들과 계약을 맺어 완제품을 공급받아 판매하고 있다.
정부도 대체식품 관련 지원을 늘리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까지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 대체식품 R&D 사업지원, 세포 배양 원천기술, 배양액 등 연관 기술 개발 지원을 추진중이다.
2022년 12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푸드테크 산업 발전 방안'에 따르면, 식물성 대체식품과 식품 프린팅 관련 기업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및 1천억 원 규모 펀드 조성이 계획되었다. 정부는 2027년까지 국내 푸드테크 관련 유니콘 기업 30개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에서 배양육 제품을 허가한 나라는 미국과 싱가포르다. 국내에서는 아직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승인을 받지 못했다. 현재 국회에는 푸드테크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 지원하는 내용의 '푸드테크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돼 있다.
식약처는 2024년까지 대체육을 포함한 대체 단백질 식품의 범주, 안전관리기준, 표기규정에 대한 법률 및 제도적인 기준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