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서울교통공사노조가 9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총파업 투쟁 승리 결의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희영 기자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서울시의 인력 감축 계획 철회를 요구하면서 9일부터 약 하루 반나절의 경고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오전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서울 중구 시청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서울시의 인력 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 계획을 규탄했다. 이날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6천여 명이 참가했다.
노조는 "연말 정년퇴직하는 인력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 내년 1월 1일부터 현장의 안전인력 공백이 발생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며 "파업 돌입 상황이라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언제든 대화와 협상에 진지하게 임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공사의 전시성·실적성 인력 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로 인해 시민과 지하철의 안전이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연단에 오른 서울교통공사 박주현 기술본부장은 "지하철의 안전은 24시간 운영되고 있는 기술 안전 인력이 터널 안에서, 교각 위에서, 역사 천장 위에서 시민의 안전을 위해 일하는 피와 땀의 결과물"이라며 "그런데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안전시설물을 관리할 인원을 단 한 명도 채용할 계획이 없다"고 지적했다.
서울교통공사노조 김대훈 역무본부장은 "서울 지하철 적자의 80%가 무임승차 때문"이라며 "연 5천억원에 달하는 서울지하철 공공서비스 적자를 2026년까지 2212명 감원으로 해결하겠다고 한다는데 가능한가"라고 반문했다.
이번 노사 간 교섭의 핵심 쟁점은 '인력 감축'이다. 공사는 대규모 적자를 줄이기 위해 2026년까지 전체 정원 1만 6367명의 13.5% 수준인 2212명을 감축하겠다는 '경영혁신안'을 내놨다.
전날 협의 과정에서 노조는 사측이 제시한 인력 감축, 안전 업무 외주화 철회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우선 올해 383명을 계획대로 감축하고 그 외 인원은 추후 협의하자며 인력 감축 입장을 고수하면서 협상 결렬됐다.
노조는 사측과의 최종 교섭이 결렬된 데 대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인력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 계획을 끝내 거두지 않았다"며 "현장안전인력 공백을 우려해 올해 정년퇴직 인력(276명)이라도 최소한 채용하자는 노조의 제안도 거부해 최종 교섭이 결렬됐다"고 설명했다.
총파업 지지 발언에 나선 공공운수노조 현정희 위원장은 "인력을 감축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력을 증원해야 한다"며 "그래야 구의역·신당역 참사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교통공사노조 명순필 노조위원장은 "오세훈 시장은 시민의 발을 볼모로 삼는다고 말한다"며 "그러나 그들은 시민의 안전을 볼모로 삼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력 감축으로 6개월은 넘길 수 있겠지만, 지하철 노동자들은 시민의 안전을 위해 투쟁에 나섰다"고 말했다.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민주노총 소속 노동조합이 이틀간 경고파업에 돌입한 9일 오전 서울 지하철 신도림역 전광판에 관련 안내문이 나오고 있다. 노조는 전날 임금·단체협약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이날 오전 9시부터 오는 10일 야간근무 전까지 파업에 돌입했다. 황진환 기자노조는 이날 오전 9시부터 파업에 돌입해 10일 오후 6시까지 이어갈 예정이다. 당초 예고했던 전면 총파업에서 한발 물러서 약 하루 반나절의 경고파업부터 하기로 했다.
출근시간대인 오전 7~9시에는 협정에 따라 100% 운행하고 이후 '파업 시간표'에 들어갔다. 전날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파업으로 인한 전체 지하철 운행률이 평상시 대비 82%, 퇴근 시간대에는 87%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노조는 이번 경고파업 이후 서울시의 입장 변화가 없다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시험일인 16일 이후 전면 파업에 나서는 것도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경고파업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 통합노조와 교섭권이 없는 제3노조인 '올바른 노동조합'은 참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