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셀러 제공 세상 일에 정신을 빼앗겨 갈팡질팡하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되는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의 체험적 회고록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40대를 가리키는 말 불혹(不惑).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는 언제부터인가 불완전하고 사회·경제적으로는 물론 직장생활, 건강, 인간관계, 가정에서 설자리를 잃어가는 중년을 일컫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10대 학창 시절과 20대의 꿈, 30대의 사회 생활을 거쳐 마흔이 되면, 모든 면에서나 좀 더 안정적이고 여유가 생길 것 같지만 실상은 불안함으로 가득하다. 열심히 사는데 왜 행복하지 않은 걸까.
책 '마흔에 글을 쓴다는 것'의 저자는 나의 삶에도 끝이 있음을 깨닫기에 마흔 이후 삶을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똑같은 일상을 살면서 매일 행복하기란 쉽지 않기에 저자는 그 치열한 삶의 돌파구로 '글쓰기'를 강력히 추천한다.
마흔의 글쓰기는 단순히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스스로 묻고 답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이를 '라이트라이팅'이라고 했다. 일상의 빛나는(light) 순간을 바라보고 가볍게(light) 글을 쓰자(writing)는 의미라고 한다.
반복되는 일상과 패턴화 되는 삶에서 문득 '내가 왜 살지?'와 같은 질문을 던지는 나이 마흔. 저자는 인생에서 어떤 '의미'를 찾으려는 기본적인 욕구라고 진단한다. 저자는 라이트라이팅을 위해 관찰과 경험, 행복과 의미를 통해 글감을 찾아보자고 말한다.
매일 똑같은 일상을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을 좀 더 미세하게 들여다 보면 모든 것이 새롭게 다가오게 된다고 이야기한다. 역동적이고 특별한 경험이 아니어도 우리가 살면서 겪는 모든 것이 소재가 된다.
아울러 부정적인 감정에 비해 행복한 기분은 아주 잠깐 왔다가 사라지기에 크기에 상관 없이 행복했던 순간을 기록해 행복한 순간을 붙잡아 두라고 조언한다. 글을 쓰든 쓰지 않든 삶의 시간은 쉼 없이 흘러가기에 여기에서 '의미'를 찾으라 당부한다.
권수호 지음 | 드림셀러 | 21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