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디플레이션 경고등 켜진 中 경제…韓 경제에도 '먹구름'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국제일반

    디플레이션 경고등 켜진 中 경제…韓 경제에도 '먹구름'

    핵심요약

    CPI는 4개월, PPI는 16개월 연속 마이너스…CPI 14년만 최대폭 하락
    16년 만에 대미 최대 수출국 자리 내줘…부동산 침체는 이미 장기화
    중국 경기 침체 직격탄 맞은 한국…중국 시장 점유율 30년 만에 최저
    산업연구원 "구조.경기 요인 복합 작용…수출 부진 장기화 대비해야"

    연합뉴스연합뉴스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 경제 성장의 동력이었던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내수와 수출 모두 움추려드는 등 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중국 경제의 침체는 중국을 최대 교역국으로 둔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중국 경제의 부진에 대응하는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 침체로 방향등 켠 각종 경제지표들

    연합뉴스연합뉴스
    지난 8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8%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에따라 중국 월간 CPI는 지난해 10월 이후 4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1월 CPI 감소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듬해인 지난 2009년 9월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폭이었다.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전년 동기 대비 2.5% 하락했다. 월간 PPI도 지난 2022년 10월 이후 16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는 등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앞서 발표된 중국의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49.2로 집계돼 경기 수축 국면이 지난해 10월 이후 4개월 연속 지속됐다. PMI가 기준치인 50을 밑도는 것은 경기 수축 국면을 뜻한다.  

    수출 성적도 시원찮다. 중국 해관총서(세관)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누적 수출액은 3조 3800억 달러로 전년 대비 4.6% 감소했다. 중국 수출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2016년 이후 7년 만이다.  

    특히, 중국은 16년 동안 이어온 대미국 최대 수출국 자리까지 내줬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대미 수출액은 전년 대비 20%나 줄어들며 멕시코에 1위 수출국 자리를 뺏겼다.  

    그동안 중국 경제 침체의 경고등이 켜질때 마다 구원투수 역할을 했던 부동산 시장은 장기 침체 국면에 진입한지 오래다. 지난 2021년 중국의 대형부동산개발업체 헝다의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시작으로 부동산 업계의 도미노 파산 공포는 현실화되고 있다.  

    중국 경제의 침체는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진영의 대중국 디리스킹(위험회피) 전략과 코로나19 사태 기간 이어져온 강력한 봉쇄정책의 후유증 등 대내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이며 이는 쉽게 해소될 성질의 문제가 아니다.  


    中 경기침체 직격탄 맞은 韓 "장기화 대비해야"

    박종민 기자박종민 기자
    한국은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며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국가 가운데 하나다. 한국은 중국에 주로 반도체 등 중간재를 수출하고 중국은 이를 완제품으로 만들어 수출하거나 자체 소비하는데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면 한국의 수출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국무역협회와 중국 해관총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전체 수입에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6.3%로 전년(7.4%)보다 1.1%p 하락했다. 이는 한중 수교 이듬해인 지난 1993년(5.2%)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또, 중국의 지난해 수입은 전년 대비 5.5% 감소했는데, 한국이 그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 감소율은 18.7%를 기록했는데 이는 대만(15.4%), 미국(6.8%), 일본(12.9%) 등 다른 수출국에 비해 큰 규모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지난 2022년 11월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까지 14개월 연속 감소했고, 이는 지난해 전체 수출이 7.4% 감소하는 데 가장 큰 요인이 됐다.  

    여기다 중국 정부 주도의 '기술 굴기' 혜택을 입은 중국 기업들의 차체 기술력이 크게 향상되며 상대적으로 중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현대차의 중국 시장 판매량은 지난 2016년 176만대에서 2022년 26만대로 쪼그라 들었고, 한때 20%대를 차지했던 삼성전자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도 지금은 1%대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사드 사태 여파를 감안하더라도 지나친 감소폭이다.  

    산업연구원은 '2024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대중 수출 감소의 원인을 중국의 경기 회복 지연 및 글로벌 IT 경기 침체라는 '경기 요인'과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 상승 및 중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 약화라는 '구조적 요인'을 꼽으며 대중 수출 부진 장기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