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中 자국산 전기차 '안보위협론' 제기한 美에 발끈, '아이폰은?'



국제일반

    中 자국산 전기차 '안보위협론' 제기한 美에 발끈, '아이폰은?'

    핵심요약

    美 상무장관 "中에 정보 보내지길 원하나" 발언 반박 나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연합뉴스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연합뉴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이 중국산 전기자동차를 겨냥해 '안보 위협론'을 제기하자 중국 당국이 허위사실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러몬도 장관의 발언과 관련한 질문에 "해당 발언은 허위 사실일 뿐만 아니라 경제·무역 문제를 광범위하게 정치화하고 안보 문제화시키는 전형적인 표현"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이 논리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이 중국 사용자가 소유한 수억 대의 아이폰이 미국으로 정보를 다시 보내는 것을 걱정해 먹통이 되기를 원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앞서 러몬도 장관은 최근 한 간담회에서 "전기차나 자율주행차는 운전자나 차량의 위치, 차량 주변 상황과 관련해 엄청난 양의 정보를 수집한다"면서 "이런 정보가 중국에 보내지는 것을 원하는가"라며 중국산 전기자동차를 겨냥해 안보 위협론을 제기한 바 있다.

    러몬도 장관은 또 "오늘날의 자동차는 바퀴 달린 아이폰과 같다"며 "중국이 미국 도로에서 운행되는 300만대의 중국 차량의 엔진을 동시에 끄게 할 수도 있다"는 발언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마오 대변은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가 최근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궁극적인 목표는 미국을 넘어 글로벌 주도 국가가 되는 것"이라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서는 "사실과 다르며 건설적이지도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중국은 세계를 주도하지 않을 것이며 세계가 누구에 의해 주도돼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며 "중국은 미국을 넘어설 의도가 없다"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