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응급실 붕괴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는 6일 전국 응급실 409곳 중 부분 중단한 4곳을 제외한 405곳은 여전히 24시간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기준 응급실을 부분적으로 운영 중단한 부분은 전날과 동일하게 건국대충주병원, 강원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 이대목동병원 등 4곳이라고 밝혔다.
응급실에 방문하는 경증·비응급 환자는 지난 4일 기준 6361명으로, 평시 8285명 대비 77% 수준이었다.
응급실에 방문한 전체 환자 수는 1만5051명으로, 평시 1만7892명 대비 84% 수준이었다.
전날 기준 27개 중증응급질환별 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은 평균 88곳으로, 직전일 대비 14곳 감소했다. 평시 평균 109곳 대비 21곳 줄었다.
정부는 경증·비응급 환자에게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대신 동네 병의원 등 지역 의료기관을 먼저 찾아달라고 강조하면서도, 환자가 자신의 중증도를 파악하거나 판단하기는 어려운 만큼 119 신고 등을 통해 도움을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정 실장은 "큰 병이라고 생각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안내에 따르면 된다"며 "119는 중증도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렇지 않은 경우, 증상 발생 시 동네 병의원이나 중소병원 응급실을 먼저 방문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진찰 결과 중증이라고 판단되면, 큰 병원으로 이송 가능하다"고 밝혔다.
현재 복지부는 방문할 수 있는 응급실과 병의원 목록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포털' 홈페이지와 '응급의료정보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중이다. 119로 전화하면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응급의료 대란의 핵심원인으로 꼽히는 '배후진료 붕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시행하는 등 필수의료에 대한 공정보상 체계를 차질 없이 구축하겠다고도 했다.
올해 안으로 상급종합병원 다빈도 중증수술 및 마취 8백여개 행위의 수가를 인상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외과계 수술·마취 등 누적 1천여개 항목의 수가를 집중 인상할 방침이다.
정부는 응급실에 파견한 군의관 일부가 현장에서 근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복귀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데 대해서는 현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겠다고 밝혔다.
특히 현장 경험이 부족한 군의관, 공중보건의사를 파견하는 건 별다른 실효성이 없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부족한' 인력을 지원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봤다.
배경택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현장에서 의료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용할 수 있는 인력을 지원하는 게 효과가 없지 않을 것"이라며 "응급실에서 근무하든, 배후진료를 돕는 형태이든 현장에서는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