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대중교통 이용 시간 등 교통카드 데이터, 오늘부터 민간 개방

대중교통 이용 시간 등 교통카드 데이터, 오늘부터 민간 개방

핵심요약

개인정보 암호화…사전 승인 받은 경우 한해 안심구역서 분석
국토부, 서울·대전 데이터안심구역 제공…분석 결과 반출도

연합뉴스연합뉴스
대중교통 승·하차 시간이나 장소, 이용 패턴 등 교통카드 데이터를 1일부터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함께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석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국토부가 지난해 10월 민간에도 교통카드 데이터를 자유롭게 분석하고 가공·활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기존에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민간에 가공해 집계한 형태로만 제공이 이뤄졌다.

이에 따라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은 이날부터 보안이 갖춰진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민간에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개방한다.

데이터안심구역은 외부 유출 걱정 없이 안전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가 지정 구역으로 서울과 대전 두 곳에서 운영 중이다.

이번에 제공되는 교통카드 빅데이터는 개인정보가 철저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암호화된 상태로, 사전에 승인을 받은 경우에 한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공간에서만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만 반출할 수 있다.

국토부는 이번 개방으로 민간 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 다양한 주체가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연구와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해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은 시간대 및 노선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DRT(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와 공유 모빌리티(전동킥보드, 자전거 등) 연계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취지다.

국토부는 "내년 12월까지 데이터안심구역에서 개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활용사례 분석 등 운영결과를 기반으로 필요시 대중교통법 개정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한 교통카드 데이터 분석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안심구역 신청포털 내 전용 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이용신청서를 작성한 뒤 승인을 받은 후 분석이 가능하다.

국토부 엄정희 교통물류실장은 "교통카드 데이터는 사람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 통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라며 "민간 역량을 활용해 대중교통 이용자가 원하는 지표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신규 대중교통 서비스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