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가맹점 매출 타 소상공보다 안정적…2023년 평균 매출 3억5천만원

가맹점 매출 타 소상공보다 안정적…2023년 평균 매출 3억5천만원

핵심요약

공정위, 2024년 가맹사업 현황 발표…가맹본부 8802개·가맹점 36만5014개
전년 대비 늘었으나 성장 추세 둔화…고물가·고금리 여파로 분석
가맹점 평균 매출(2023년 기준) 전년도보다 3.9% 증가…소상공인 14.9% 감소와 대조적
서비스업종 4.6%, 도소매업종 3.5%, 외식업종 3.0% 각각 늘어

업종별 브랜드 수와 비중 비교. 공정위 제공업종별 브랜드 수와 비중 비교. 공정위 제공
지난해 고물가, 고금리 여파로 가맹본부, 가맹점의 성장 추세가 다소 둔화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맹점 매출액은 다른 소상공 업종에 비해 다소 안정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도 가맹사업 현황을 9일 발표했다.
 
공정위는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개·폐점률) 및 평균매출액(차액가맹금)은 지난 2023년 말 기준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가맹본부 수는 8802개, 영업표지(이하 브랜드) 수는 1만2377개, 가맹점 수는 36만5014개로 집계됐다.

전년도에 비해 가맹본부 수는 0.5%, 가맹점 수는 3.4% 각각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각각 6.5%p, 1.8%p 감소했다. 특히 브랜드 수는 공정위가 가맹사업 현황 통계를 발표한 2019년 이후 최초로 감소(-0.4%)했다.

공정위는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내수경기 회복 지연 및 자영업 경영 여건 악화로 가맹사업의 전반적인 성장 추세가 전년에 비해 둔화됐다고 분석했다.
 
공정위는 다만, 브랜드 수 감소는 직영점 운영 의무화(1+1) 제도 도입 직전 등록된 브랜드들이 지난해 대거 등록을 취소한데 따른 것으로 판단했다. 지난해 등록 취소된 브랜드 1698개 중 절반인 848개가 여기에 해당된다.

업종별 브랜드 수는 외식(9873개) 및 도소매(571개) 업종에서 각각 -0.6%, -4.0% 감소했으나 서비스(1933개) 업종은 1.7% 소폭 증가했다.

가맹점 수는 외식(18만942개) 0.6%, 도소매(6만9567개) 1.1%, 서비스(11만4505개) 10.0% 등 업종 모두 전년 대비 증가했다. 서비스 업종의 증가는 카카오T블루 가맹점 수가 1만7천여개에서 2만7천여개로 1만여개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브랜드 수 비중은 외식업이 79.8%로 대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서비스(15.6%), 도소매(4.6%) 순이었다. 가맹점 수 비중 역시 외식(49.6%), 서비스(31.4%), 도소매(19.1%)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규모는 가맹점 10개 미만의 소규모 브랜드가 전체의 72.7%, 중규모 브랜드(가맹점 10개~99개)가 23.3%, 대규모 브랜드(가맹점 100개 이상)가 4.0%로 집계됐다.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백만원). 공정위 제공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백만원). 공정위 제공
이런 상황에서 가맹점 매출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 2023년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3억5천만원으로 전년도보다 1천만원, 3.9% 증가했다. 같은 해 소상공인이 전년도보다 3천만원, 14.9% 줄어든 2억원의 평균 매출을 올린 것과는 대조를 보였다.

외식업종의 경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억23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0% 늘어났다. 세부적으로 한식업 9.9%, 피자업 5.5%, 치킨업 4.9%, 커피업 4.3%의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제과제빵의 경우 34.0%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한식업종 가맹점 수가 22.9%로 가장 많았고, 커피 업종의 가맹점 수 증가율이 6.7%로 가장 높았다.
 
서비스 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1억8600만원으로 전년보다 4.6% 증가했다. 이미용, 외국어교육, 세탁 업종이 각각 12.8%, 4.3%, 3.4% 늘었으나, 교과교육 업종은 12.3% 감소했다. 외국어교육 업종 가맹점 수가 14.0%로 가장 많았고, 증가율은 세탁 업종이 3.9%로 가장 높았다.

도소매 업종의 경우 평균 매출액은 5억6천만원으로 전년도보다 3.5% 확대됐다. 화장품(19.2%) 및 편의점 업종(1.4%)은 매출액이 늘었으나 건강식품(-11.5%) 및 농수산물 업종(-1.7%)은 하락했다. 가맹점 수는 편의점 업종이 1.2% 증가한 반면 화장품 및 농수산물 업종은 각각 21.0%, 18.8% 감소세를 보였다.

공정위는 지난해 경기불황 국면에서 가맹산업의 성장은 다소 정체됐었으나, 가맹산업이 영세 자영업자의 안정적 매출 확보 통로로서의 역할을 비교적 잘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올해 내수회복이 지연되고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필수품목 제도개선 사항 등 가맹점주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시책의 현장 안착과 정보공개서 공시제 등 제도개선에 역점을 둘 계획"이라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