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이 6·3 조기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결정하면서 당내서도 술렁이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13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전날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병행하는 내용을 담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의원총회에 보고했다.
그동안 민주당은 대선 후보 본경선에서 당원과 일반 국민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선거인단 방식을 실시해왔는데 '당원 주권 강화'와 '역선택 우려' 등을 이유로 방식을 바꾼 것이다.
관련해 의총에선 '여론조사 표본 추출'과 '예비 후보들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했는지' 등에 대한 질문이 나왔지만 별도 이견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또는 기존 경선룰을 주장해온 김동연 경기지사 등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반발하고 있고, 일부 의원들도 관행을 급하게 바꿀 필요가 있느냐며 의문을 표하는 상황이다.
김 지사는 이날 서울 여의도 캠프에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지금 진행되는 경선 룰은 그동안 민주당이 유지했던 전통과 많은 국민이 참여하는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며 "절차에 있어 어떠한 협의도 없던 점에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입장문에서 "(특별당규위가)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룰에 대한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하겠다"고 밝혔다.
오랜 당무 경험이 있는 한 수도권 의원은 "통상 유력한 후보가 있으면 불리한 후보들의 요청 사항을 들어주는데, 기존대로 하는 게 나았을 것"이라면서도 "여론조사를 한다고 역선택 우려가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특별당규는 이날 전당원 투표와 14일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 등을 거쳐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