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역사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한국사 수능 필수화 여부를 놓고 찬반 논란이 있었으나 가닥이 잡혔다.
여권 등에서 역사 교육 강화를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수능에 한국사를 필수 과목화하는 것을 포함한 4가지 대입 연계 방안을 검토해 왔다.
이중에는 '한국사 기초학력평가시험'을 개발해 시행하거나 기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대입에 활용하는 방안도 들어있다.
그동안 한국사 수능 필수화와 한국사 기초학력평가시험 도입 등 2가지 안에 대해 집중적인 검토작업이 진행돼 왔다.
논의 결과 수능과목 지정이 한국사 교육 내실화의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는 데에 공감대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관계자는 "한국사 수능 필수화와 기초학력평가시험 도입에 대한 논의에서 수능 필수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역사 과목은 (학력)평가기준에 넣어 어떻게 해서든지 (성적에) 반영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낸 바 있다.
한국사의 수능과목 지정이 확정되면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치르는 2017학년도 부터 연계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가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된다고 해도 현재 고교생은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한국사를 배우고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바꿀 필요가 없다.
다만 학생들의 한국사 수능성적을 대학들이 어느정도 비중있게 받아들일 지는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교육계 인사들은 한국사가 수능 필수화가 되면 상당수 대학들이 한국사 성적을 입시에 반영할 것으로 내다봤다.
역사교육 강화 취지에는 대부분 공감하는 분위기지만 학생들의 학업부담이 늘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한국사 기초학력평가시험을 도입하는 것 보다 수능 필수화가 학생들에게는 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역사 교육 강화를 평가 위주로 접근할 경우 한국사가 단순 암기과목으로 전락해 제대로 취지를 살릴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국사가 수능 필수화로 확정되면 사회과목 등 타 교과의 반발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8일 역사교육 강화방안 토론회와 다음주 초 당정협의를 거친 뒤 최종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