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태안의 조언 "여수주민, 피해 증거 확보 중요"



사건/사고

    태안의 조언 "여수주민, 피해 증거 확보 중요"

    축소, 늑장 대응. 6년전 태안과 여수 비슷

    - 6년전 태안도 축소하고, 다 방제된다고 말했고
    - 태안 어획량, 관광객 , 사고 이전과 차이
    - 사고 1년뒤 암이 발생하기도. 후유증 고생도
    - 초동단계에서 피해 실태조사해 증거 확보해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4년 2월 4일 (화) 오후 6시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최한진 (태안유류피해대책위 위원장)


    ◇ 정관용> 여수의 기름 유출 사고, 방제작업이 지금 닷새째 계속되어 있는데요. 이 방제작업을 하던 인근 주민들 병원에 실려 가고 또 피해보상 절차에 대해서도 정부와 업체 또 주민들 간 의견차를 보이는 등 초기부터 여러 가지 문제가 노출되고 있습니다. 반면교사로 배워야할 일이 있죠. 바로 6년 전인 2007년 12월 태안 앞바다에서 벌어졌던 대규모 기름 유출 사고, 그 경험자이십니다. 태안군 유류피해대책위원회 최한진 위원장 연결합니다. 최 위원장님?

    ◆ 최한진> 네, 안녕하십니까? 최한진입니다.

    ◇ 정관용> 요즘 뉴스 보시면 정말 6년 전 악몽이 막 떠오르시죠?

    ◆ 최한진> 네, 아주 안타깝습니다. 그 방송을 보고, 지금 5일째가 지났는데 매우 안타깝습니다.

    ◇ 정관용> 맨 처음에 지금 여수에서 먼저 시작되는 게, 지적되고 있는 게 신고가 늦었다, 늦장신고다 또 기름 유출량이 축소돼서 신고 됐다. 이게 당시 태안에서도 그랬었나요?

    ◆ 최한진> 글쎄. 저희도 6년 전에 똑같은 상황이었습니다. 인터뷰하시는 걸 제가 들었는데요. 20년 전에도 이와 똑같은 그런 사태가 있었지 않습니까? 여수에도. 그런데 지금도 그와 같이 지금 설마하니 파이프가 1m짜리가 지하로 3개가 유출됐다는 것은 다 알고 있었잖아요. 알고 있는데 1m에서 뭐 80ℓ나 800ℓ다. 이건 말이 안 되잖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을 실수했다라는 것은 도저히 납득이 안 가는 거죠

    ◇ 정관용> 그 6년 전 태안에서도 그랬었어요? 초반에는 유출량을 축소하려고 했어요?

    ◆ 최한진> 저희가 생각할 때는, 본인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축소를 했고. 또 다 방제되는 걸로 했고. 또 대통령이나 누구들이 조사, 현장 방문을 하니까 유화제를 많이 뿌려서 다 가라앉히는 작업을 했고. 여러 가지 그런 실수들을 많이 범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래서 지금 6년 지났는데 이제는 어느 정도 복구가 됐습니까? 어떻습니까?

    ◆ 최한진> 복구라고 하는 부분은 수산 쪽이나 또 관광 쪽이나 어차피 바다에서 기름이 엎어졌어도 여수나 태안이 똑같이 그 바다에 거의 한 7~80%를 경치, 관광이 됐든. 다 바다를 배경으로 해서 사는 그런 지역입니다. 그렇다고 보면 관광 분야가 됐든 수산 쪽이든 다 회복이 됐다고는 아직 안 되는 거죠. 아직도 멀었습니다. 그리고 보상이 됐다고 하는데 보상은 일부분의 배상, 그것도 보상이 됐든 배상이 됐던 일부분이 약 30% 정도, 1만 명이라면 약 30% 일부분 그것도 보상이 이루어진 것이죠. 그리고 나머지는 지금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