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와 다른 평가에 당황
-정치색 배제한 가족영화
-포레스트검프와 다른 점은 '희생'
-말단스태프까지 표준계약, 최초 사례
-영화계 비정규직 처우 개선 단초 희망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윤제균 ('국제시장' 감독)
개봉 12일 만에 4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국제시장, 지금 이 영화를 두고 정치적 해석논쟁이 SNS에서 뜨겁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국현대사의 어두운 부분은 외면하고 산업화 세대를 미화했다, 이런 지적이 나온 후 이 영화에 대한 해석이 이념논쟁 형식으로 이어지는 모습인데요. 영화를 만든 감독의 생각은 과연 어떤 것이었는지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국제시장>의 윤제균 감독님 만나보겠습니다. 감독님 안녕하십니까?
[박재홍의 뉴스쇼 전체듣기]◆ 윤제균> 안녕하세요?
◇ 박재홍> 요즘 흥행몰이 심상치 않네요. 기분 좋으시죠?
◆ 윤제균> 기분이 좋기보다는 일단 너무 감사드리는 마음이 큰 것 같아요. 사실 이 정도까지 잘 되리라고는 전혀 예상을 못 했었고요. 왜냐하면 이게 중장년층 우리 부모님 세대 분들은 좋아하실 거라는 기대는 있었는데 과연 젊은 세대들이 어떻게 볼까 참 궁금하기도 하고 그랬었어요. 지금 되게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 박재홍> 영화 국제시장을 보신 분들은 "한국판 포레스트 검프를 보는 것 같다" 이런 말씀도 하시는데, 실제로 감독님께서 이 영화를 만드시면서 착안한 바가 있으신 건가요?
◆ 윤제균> 당연히 <포레스트 검프="">는 미국에 근현대사를 다뤘던 영화고 그 당시 <포레스트 검프="">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에도 근현대사를 다룬 영화가 있고 각 나라마다 근현대사를 다루는 영화들이 한두 편씩은 다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없는 것 같아서, 다른 각 나라의 그런 현대사를 다룬 영화들을 같이 참고를 하면서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고 새롭게 창조하려고 했던 부분도 있고 그랬던 것 같아요.
◇ 박재홍> 영화 <포레스트 검프="">의 주인공 국제시장에는 덕수가 주인공으로 나오는데요. 그런데 <포레스트 검프="">를 보면 시대의 굴곡에서도 묵묵히 자기 일을 하면 결국 성공할 수 있다, 이런 미국 사회의 아메리칸드림, 어떤 성공 신화를 상징하는 그런 인물로 묘사가 되고 있는데요. 그러면 국제시장의 주인공 덕수도 비슷한 맥락으로 읽을 수 있을까요?
◆ 윤제균> 그런 부분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포레스트 검프="">의 주인공과 약간의 다른 부분이 있다면, 대한민국에 힘든, 고단한 시절을 지내왔던 우리의 부모님,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희생'이라는 단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결국은 가족을 위해서, 자식을 위해서 희생을 한, 그런 희생이라는 단어 자체가 또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근현대사를 조명한 영화들과는 주인공의 캐릭터가 조금 차이가 나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 박재홍> 부모님 세대는 영화를 보시면서 굉장히 우시기도 하셨고 감동적으로 영화를 보시는 것 같은데요. 아까 감독님도 젊은 세대는 어떻게 받아들일까 걱정반, 궁금반 하셨다고 하셨는데 젊은 세대 일부에서는 이게 지금 논란의 진원이 되기도 하거든요, 영화를 보신 다음에. 또 '선동영화다' 이런 식의 글을 올리시는 분도 계시잖아요. 이런 식의 글에 어떻게 답변을 하실 수 있을까요?
◆ 윤제균> 사실은 그런 논란을 인터넷을 통해서 접하기도 했었는데 그런 제가 처음 의도한 부분하고는 좀 다르게 논란이 돼서 약간 당황스럽기는 했어요. 감독의 입장에서 관객분들한테 부탁드리고 싶은 건, 사실 국제시장이라는 영화는 거창한 목적 의식을 가지고 출발을 했던 영화가 아니에요. 그냥 일찍 돌아가신 제 아버님, 제 아버님이 평생 샐러리맨을 하시면서 그냥 가족과 자식을 위해서 열심히 일만 하시다가 돌아가셨는데 돌아가실 때 대학교 2학년 때 아버님 돌아가실 때 "참 고생하셨습니다,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그 말 한 마디를 제가 못 드렸던 게 평생 한이 됐었어요. 그래서 그런 개인적인 이유에서 언젠가는 이 영화를 꼭 해야 되겠다 생각을 했던 결과 만든 게 이 영화거든요. 부탁드리고 싶은 건, 어떤 정치적인 이슈만으로는 안 봐 주시면 좋을 것 같고 어떤 개인적인 시각이나 가족적인 시각에서 조금은 열린 마음으로 봐주시면 좋겠다는 부탁을 드리고 싶어요.
◇ 박재홍> 그러니까 이념적인 그런 시각이라든지 정치적인 해석은 하지 말아달라 이런 말씀 이신가요?
◆ 윤제균> 네, 맞습니다.
영화 '국제시장' 포스터
◇ 박재홍> 한 가지만 더 여줘본다면 외적인 부분이겠습니다마는 2011년에 영화계가 표준근로계약서를 시도를 했지 않습니까? 열악한 처우를 받는 비정규직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계약인데요, 영화 국제시장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 윤제균> 오늘 정말 하고 싶었던 얘기 중에 하나가 그 부분인데요. 사실 이번에 영화 찍으면서 헤드스탭부터 말단스탭까지 모두 표준근로계약서를 작성을 했어요. 말단, 우리 막내 스태프까지 같이 이 표준근로계약을 한 건 한국영화에서 이번이 처음인 것 같은데요. 정말 이 표준계약서대로 작업을 하면 우리가 정말 인간답게 행복하게 살림을 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확신을 얻어서 너무 행복했었어요. 국제시장을 하면서도, 계약이 그렇게 됐기 때문에 하루에 12시간 이상은 촬영을 하지를 않고 또 12시간 이상의 촬영을 하면 1.5배, 밤늦게 촬영하면 2배 이상의 또 오버차지(초과시급)를 또 많은 스태프들한테 지급을 하고 일주일에 꼭 한 번씩은 쉬고 또 모든 스태프들에게 4대보험을 적용을 하고 이렇게 하다보니까 정말로 영화 한 편을 했지만 모든 스태프들이 다 한 식구처럼 또 한 영화를 위해서 열심히 하려는 모습을 봤어요. 그래서 앞으로는 제가 감독을 하는 영화든, 제작을 하든 영화들은 모든 영화인들이 표준계약서대로 작업을 해야 되겠다, 그게 안 하는 것보다는 훨씬 더 민주적이고 또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되겠다, 이런 확신을 얻은 것 같아서 너무 자랑스러운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국제시장이 표준근로계약서로 작업을 한 부분이라는 것을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 박재홍> 영화 국제시장이 좋은 사례가 돼서 다른 영화에도 확대가 됐으면 좋겠네요.
◆ 윤제균> 바람이 있다면, 모든 영화인들이 표준계약서를 작성을 해서 촬영을 하면 투자금이 한 1, 2억 정도 추가가 되는 게 있어요. 우리 스태프들이 투자하시는 분들, 투자자분들께서 양해를 해 주신다고 하면 정말 너무나 좋은 환경에서 열심히 일할 수 있다는 것을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스태프들도 자랑스럽고 행복한 환경에서 영화일을 하는 시간이 좀 빨리 왔으면 좋겠다는 그런 바람이 듭니다.
◇ 박재홍> 말씀하신 것처럼 영화계의 비정규직 처우개선 문제, 이번 국제시장 영화를 통해서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화 계속 부탁드리고요. 우리 감독님 영화 열심히 보겠습니다.
◆ 윤제균> 너무 감사합니다.
◇ 박재홍> 감독님 말씀 감사합니다.
◆ 윤제균> 감사합니다.
◇ 박재홍> 영화국제시장의 윤제균 감독 만나봤습니다.
[박재홍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포레스트>포레스트>포레스트>포레스트>포레스트>국제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