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의 비판, 방향은 맞다
-안철수 책임론? 도의적 책임 정도
-천정배 신당? 잉여정치 한계 보여
-공천 혁신안, 시스템 공천제도가 핵심
■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최재성 (새정치민주연합 총무본부장)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오늘 공천혁신안이 담긴 마지막 혁신안을 발표합니다. 이렇게 당 혁신 작업은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지만 당의 비주류와 당내 혁신위의 갈등, 더욱 표면화되고 있는데요. 새정치민주연합 총무본부장인 최재성 의원을 연결해서 의견 들어보겠습니다. 최재성 의원님, 안녕하십니까?
◆ 최재성> 안녕하세요.
◇ 박재홍> 지난주 내내 혁신위를 둘러싼 주류, 비주류, 혁신위 간에 공방이 있었는데. 의원님께서는 안철수 의원의 혁신위 비판에 대해서 '다른 비판과 결이 다르다, 충정이 읽힌다' 이렇게 말씀하셨죠. 어떤 의미입니까?
◆ 최재성> 우선 안철수 전 대표의 말씀은 계파를 언급하면서 그러면서 또 계파를 만들고 또 계파의 이익을 추구하고 또 개인이익을 추구하고, 이랬던 여느 비판하고는 좀 다르다는 점이구요. 탈당, 신당 등을 언급하면서 당 통합을 저해하고 분열의 틈새를 또 노리는 듯 한 언급하고는 또 다르다고 봅니다. 또 안 대표께서 제시하셨던 세 가지는, 시비는 있을 수 있지만 (맞는) 내용이고 방향인 것은 분명합니다. 저도 개인적으로도 이 세 가지 중에 상당 내용에 동의할 부분들이 있지 않나 그렇게 생각하고요. 그것에 대해서 동의하든 동의하지 않든 분명히 내용과 방향이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 다르다 이렇게 평가하는 것입니다.
◇ 박재홍> 안철수 전 대표가 어제 이런 말도 했죠. 혁신안 비판과 함께 당 내 패권주의 리더십이 당을 지배했다, 배타주의와 진영논리가 민주성을 가로막았다, 이런 비판은 혁신안 내용 비판뿐 아니라 문재인 대표 체제를 비판한 건 아닌가요?
◆ 최재성> 그런 것이 있다면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까, 또 고민해 볼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저는 당내의 패권주의가 상당정도 희석되고 없어지고 있다, 이렇게 평가하는 사람이지만요. 현대 정당, 특히 국민이 바라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당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여전히 그 잔재가 있는지 또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반면 의원님은 '비판의 결이 다르다' 이런 말 속에 김한길, 박지원 의원을 언급하셨죠. 그러면 이 두 의원은 모두 대안 없는 비판만 하고 있다, 이렇게 보시는 건가요?
◆ 최재성> 그렇죠. 그런 생각이 있습니다.
◇ 박재홍> 어떤 점에서 그런가요?
◆ 최재성> 그것은 굳이 설명을 안 드려도 안 대표 말씀하고 비교해 보면 그거는 증거가 되지 않겠습니까? 혁신의 방향과 내용에 대해서 달리 어떻게 말씀을 하시는 것을 못봤습니다. 비판은 들어봤구요. 그런 점에서 비교가 된다는 뜻입니다.
◇ 박재홍> 그렇다면 계파의 당권과 공천권 때문에 박지원 의원과 김한길 의원은 비판을 계속하고 있다, 이렇게 보시는 거군요.
◆ 최재성> 저는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 아닌가 싶고요. 그것은 저 뿐만이 아니고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또 걱정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여러 가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번 혁신위의 가장 큰 성과라고 한다면, 계파나 당대표 혹은 특정 개인의 어떤 영향력에 따라서 공천이 좌우되던 인위적인 공천을 상당 정도 막아내고, 시스템에 의한 공천을 만들었다는 것이 혁신위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 박재홍> 그런데 김상곤 위원장 같은 경우는 안철수 의원의 비판에 대해서 '성급하고 무례하다' 이런 반발을 하고 있죠. 또한 당 상황에 대해서 안철수 책임론도 거론하고 있는데. 김 위원장의 이런 태도나 반박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최재성> 저는 무례한 건 모르겠지만 조금 성급한 측면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시점적 측면에서는 그런 점이 있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아직 혁신위 활동이 끝난 게 아니거든요. 그래서 그런 점은 그럴 수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특히 책임론을 얘기를 하셨잖아요. 안철수 전 대표도 대표를 지냈기 때문에, 또 다른 김한길 대표나 이런 분들도 다 에둘러서 말씀하신 거라고 보는데요. 그러나 안철수 전 대표의 경우에는 합당을 하고 또 지방선거를 치르고, 지방선거 또 괜찮게 치뤘습니다. 보궐선거에서 지고 물러났고 이 기간이 굉장히 짧습니다. 그리고 대통령 선거 때는 출마를 못했던 후보입니다. 그래서 저는 분명한 것은 대표로서의 책임은 있으나 도의적 책임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최재성 새정치민주연합 총무본부장(사진=윤성호 기자/자료사진)
◇ 박재홍> 도의적 책임 범주에 있다면 큰 책임이 없다는 말씀인가요.
◆ 최재성> 짧은 기간에 부정적 측면만 우리가 본다면 그것은 책임이 있다, 이렇게 단정적으로 말씀을 할 수 있겠습니다마는. 이 일련의 흐름을 보면 대표로서의 도의적 책임, 이 범주를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이 저의 솔직한 평가입니다.
◇ 박재홍> 좀 더 시간을 두고 봐야 된다, 이런 말씀이신 것 같네요. 새정치민주연합 총무본부장인 최재성 의원을 만나고 있습니다. 한편 천정배 의원이 어제 광주에서 신당 지원조직인 빛다울 포럼을 출범시켰죠. 여기서, 광주와 호남, 개혁세력이 만들어준 야당이 기득권화되어 있다, 그래서 어떤 희망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이런 주장은 어떻게 보셨나요?
◆ 최재성> 지금 새정치민주연합이 호남권 유권자 분들에게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일측면 현실로서 인정을 안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천정배 장관의 그런 시도는 하나의 정치적 행위, 정치적 시도로는 누구도 막을 수 없다고 생각을 하지만, 호남 유권자라는 가장 역사적으로 앞서 있고 또 정치적 의식이 뛰어나고 또 야당 걱정을 가장 많이 하는 호남 유권자들에게 이 정도의 인물 대안과 이 정도의 내용 대안이면 신당을 만들고 기존 야당을 넘어서야 되지 않느냐 이런 것에 대한 웅변이 부족했다는 겁니다. 그래서 기존 야당에 대한 부정은 있었지만 새로운 비전과 인물에 대해서는 부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네거티브하는 이런 진행 아니냐 이런 거구요. 그래서 잉여정치로는 안 된다고 봅니다. 또 잉여정치인으로서 안 된다고 보기 때문에 이런 점에서는 좋은 점수를 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그럼에도 탈당이나 분당이 가시화되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는데. 문재인 대표의 경우는 분당도 없다, 오히려 그런 세력들을 끌어안을 것이다 이런 입장이신 것 같아요. 문재인 대표의 판단과 자신감, 현 상황에서 맞는 건가요.
◆ 최재성> 분당이 벌어지고 있다는 유의미한 정치적 구도, 명분, 행보가 확인되지 않고 있거든요. 그래서 말씀드렸다시피 어떤 정치적 아규먼트(argument. 논쟁), 또 기존 새정치민주연합을 흔들고 그 속에서 변화된 야당 구도, 이것을 좀 시도하는 것이 아니냐 정도의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솔직히 저는 그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래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재보궐 선거 패배 이후로 상당히 당무 시스템이 복원되고 정상화되고 있습니다.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고요. 그래서 최근에 안철수 대표나 김한길, 박지원 대표님의 일련의 발언들이 없었다면, 꽤나 정상적으로 당이 운영되는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분당과 탈당을 계속 언급하시는 거점인 호남 소지역주의 구도로는 이미 성립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래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잘하고 더 혁신하는 것을 통해서 호남 유권자들에게 응답을 드리면, 분당과 또 이런 것은 없다, 이런 것이 그 말씀의 발로가 아닌가 싶습니다.
◇ 박재홍> 일각에서는 손학규 전 고문의 정계복귀가 필요하다, 이런 주장도 나오고 있는데 이런 부분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 최재성> 그것은 손학규 전 대표님의 의지가 중요한 문제고, 손 대표님의 판단이 중요한 문제지, 누가 주변에서 왈가왈부하면서 군불을 때거나 이래가지고 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의원님께서 확인하신 손 전 고문의 의지가 어느 정도 있다고 보십니까? 지금 확인된 사실이 있나요?
◆ 최재성> 손 대표님의 의지를 확인한 사람은 제가 보기에는 사모님도 잘 모르신다,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 박재홍> 알겠습니다. 오늘 혁신안이 나오게 되는데요. 어떤 내용이 담겨야 될까요.
박재홍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