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신보라 당선인,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당선인, 국민의당 김수민 당선인
"청년 의원이 실종된 현 상황이 안타깝습니다. 이에 대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새누리당 신보라 당선자(비례대표 7번. 33세)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청년 의원의 당선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배려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당선자(부산 연제구. 39세)
청년 의원이 초토화된 20대 국회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청년 당선자들의 일성은 안타까움이다.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20대 투표율은 49.4%, 30대 투표율은 49.5%이다.
20대 투표율은 28.1%(18대)와 41.5%(19대)에 비해 크게 오르고 30대 투표율 역시 35.5%(18대)와 45.5%(19대)에 비해 증가했지만, 이번 총선 2~30대 당선자는 국민의당 김수민(비례대표 7번. 29세) 당선자까지 모두 3명뿐.
청년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가운데 같은 연령대 의원이 9명이던 19대 국회에 비해 오히려 청년 의원 수가 대폭 줄어든 것이다.
◇ 청년 의원들은 왜 실종됐나? 이처럼 청년 의원이 사라진 배경에는 현실적인 장벽이 자리 잡고 있다.
경험과 인지도, 선거 재원 등이 부족한 청년 정치인들은 여전히 선거구뿐만 아니라 당내에서도 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상황.
신 당선자는 "이번 선거 유세단으로 활동하면서 '너무 어리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며 "지역구 선거에서는 지역에 대한 이해와 공약이 중요한데, 상대적으로 청년은 '설익었다'는 평가가 많다"고 설명했다.
김 당선자도 "청년 후보자는 경력과 경험에서 기성 정치인인 상대 후보에 비해 아무래도 열세"라면서 "선거를 치르려면 물적, 인적 자원이 풍부해야 하지만 청년 후보자들이 이를 고루 갖추기 어렵다"고 말했다.
'2016 총선청년네트워크' 발족식 (사진=박종민 기자)
앞선 청년 의원들의 활약에 한계가 있었다는 아쉬움도 내비쳤다.
신보라 당선자는 "제19대 국회 청년 의원들이 '청년 기본법'이나 '고용촉진특별법' 등 청년 이슈와 관련된 법안을 10개 넘게 발의했지만, 정작 통과된 법안은 2~3개에 그쳤다"며 "청년 의원들이 워낙 소수이다보니 제 역할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 원내에 진출한 청년 의원들이 날로 심각해지는 청년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역부족이었고, 그 결과로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비례대표에서 배제됐다는 해석이다.
◇ 청년 대변하는 제도적 장치 '청년 비례', 정치 공학에 밀려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김용철 교수는 "각 정당들이 비례대표 후보로, 청년보다 각 직군 전문가를 공천하는 게 표를 얻는 데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밝혔다.
공천과정에서 일었던 파열음이나 야권 분열 등 다른 정치 공학적 이슈가 불거지면서, 청년 비례 등에 대한 관심이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사평론가 김성완씨는 "지난 총선 때만 해도 더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청년을 위한 콘서트를 여는 등 청년 정치인에 지원을 많이 한 편이었지만, 올해는 당내 갈등에 정신이 팔려 굉장히 중요한 청년층 문제에 소홀했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 비례대표는 기성 세대가 지배하는 사회에 청년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인데, 이를 활용하지 못한 건 문제"라고 꼬집었다.
청년문제만 있고 청년이 사라진 현실이 국회에서도 재연된 가운데, 청년 당선자들이 '소수정예'의 울림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