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왼쪽 다섯 번째), 정세균 국회의장, 김이수 헌재소장 권한대행 등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한편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오른쪽 두 번째)는 입을 다물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자유한국당 지도부는 18일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지만, 임을 위한 행진곡은 끝내 부르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9년 만의 '공식 제창'을 선언하자 행사장에는 수천 명의 목소리가 울려퍼졌지만 이들 만큼은 입을 굳게 다물었다.
한국당 정우택 대표 권한대행은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사항이라고 생각해서 부르지 않았다"고 이유를 밝혔다.
정 대행은 "5.18 민주 영령에 대한 추념의 마음은 변함이 없다"면서도 "(문 대통령이) 협치를 하시겠다면서 이 문제(제창)에 대해 우리 정치권에 협조를 구하신 적이 한 번도 없다"고 덧붙였다.
반면 보수진영의 또 다른 대표로서 참석한 바른정당 주호영 대표 권한대행은 함께 노래를 불렀다.
5.1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1년 작곡된 추모곡이다. 군사 정권 하에서 금지곡이 됐지만 1997년, 5월18일이 국가기념일로 승격되면서 정부 주관 기념식 말미에 기념곡으로 제창됐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9년부터 제창이 공식 식순에서 제외됐고, 같은 해와 2013년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대체할 기념곡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이라며 새 정부 출범 8일 만에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고, 행사장에 참석한 일부 광주 시민들은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