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지하수 고갈 논란

NGO 현 계획이면 백구 포도농가 영농위기

전북 스마트팜 혁신밸리 반대대책위원회가 11일 전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지하수 고갈우려를 들어 대체부지로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이균형 기자)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전북지역 1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전북 스마트팜 혁신밸리 반대대책위원회'는 "지하수 고갈로 인해 포도농가가 영농위기에 처할 것"이라며 스마트팜 밸리의 대체부지 이전을 촉구했다.

대책위와 농민 등 10여명은 11일 전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라북도와 김제시가 6억 원을 투입해 금강용수를 공급한다는 계획은 실효성이 없는 예산낭비라고 주장했다.

금강사업단 관수로에서 용수를 지지제, 순지제로 끌어들여 스마트 팜과 주변 농가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시 정수처리를 거쳐야 하는 등 추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번거로운 정수시설보다는 당장 끌어서 쓸 수 있는 지하수 이용으로 갈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사용되는 모든 농업용수를 금강 도수로에서 가져다 쓴다고 해도 부용제가 매립되면 습지의 수원 함양기능, 즉 물을 담는 그릇이 사라지기 때문에 농가 지하수 부족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기에 비상급수용이라는 명분으로 200톤짜리 관정 3곳을 파게되면 지하수 수위가 낮아져 농가들이 용수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대책위는 또 "매입해야 할 사유지가 절반이 넘고 지방비로 부담해야 할 사업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부용제 매립을 고집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지역농업과의 상생, 입지 환경성을 신중하게 따져본 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질조사 5개 지점은 멸종위기종 독미나리가 서식하는 지점과 상당부분 겹치기 때문에 현재 진행중인 소규모 환경 영향평가 협의 결과를 거친 뒤 추진 여부를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전라북도 관계자는 "부용제는 이미 1991년 농업용 저수지로서 용도가 폐기돼 매립이 진행 중인 상태로 습지의 수원 함양 기능에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또 "비상용 관정 3곳은 지하수 검사를 통해 주변 농가의 영농급수에 영향이 미칠 경우 파지 않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대체부지로 폐교된 김제 벽성대 부지를 거론하고 있지만, 이는 부지매입에 사업비 전체를 투입해도 모자랄 판이고, 교육부 등 협의를 거치는데에도 많은 시일이 소요될 것"이라며 현실성이 없음을 강조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