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성동조선 노조·시민단체 "경남도, 지원책 마련하라"



경남

    성동조선 노조·시민단체 "경남도, 지원책 마련하라"

    경남대책위 "3차례 새주인 찾기 실패에 경남도 적극 방안 논의" 촉구

    (사진=이형탁 기자)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통영 성동조선 매각이 3차례 무산된 가운데 성동조선 노동자와 시민단체가 정부와 경남도에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노동자생존권보장 조선소 살리기 경남대책위는 20일 경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지사 취임 이후 지난 1년 동안 성동조선을 비롯한 경남의 중형조선의 어려움은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고 도리어 대우조선의 매각 사태로 경남 조선업 전체로 위기감이 퍼지고 있다"고 밝혔다.

    경남대책위는 "상황이 이런데도 경남도는 이제서야 경남조선업 생태계회복을 위한 민관협의체를 구성한다고 한다"며 "불과 4개월 남짓 남은 성동조선의 생존가능 기한을 생각한다면 너무나도 안이한 행정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경남대책위는 또 "절명의 위기에 내몰린 성동조선이 회생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채권단이 원활한 매각이 될 수 있도록 시장에 중형조선에 대한 정책지원, 선수환급보증(RG) 등 확실한 지원책을 선제적으로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남대책위는 이어 "경남도는 지역경제와 경남조선업 생태계를 회복시키겠다는 명확한 의지를 대내외에 보여야 한다"며 "비판에 못이겨 마지못해 꾸리는 민관협의체가 아닌 성동조선의 실질적인 회생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즉각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강기성 성동조선지회장은 "성동조선은 지금부터 불과 4개월 남은 시한부 삶을 살고 있지만 지난 1년 동안 정부와 지자체는 강 건너 불구경하듯이 매각 결과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창원지법 파산1부는 지난 13일 성동조선 3차 매각 과정에서 예비입찰에 참여했던 투자자 3곳을 대상으로 본입찰을 진행했지만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지 못했다.

    인수 희망 업체들의 자금조달 능력이 증빙되지 못했다고 법원이 판단했기 때문이다.

    법원이 정한 회생계획안 가결 기한은 오는 10월 18일로 4개월 정도 남아있어 4차 매각 가능성도 열려 있지만 시간과 절차 등으로 매각은 어려운 것으로 노조와 시민단체는 보고 있다.

    한편 경남 통영에 위치한 성동조선해양은 2003년 설립됐으며 한 때 전 세계 조선소 8위에 올랐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파생상품 거래손실 등으로 유동성이 줄어들며 수주 취소, 신규 수주 부진 등의 위기를 맞았다.

    성동조선은 2010년 4월 결국 채권단 공동관리에 들어갔지만 경영 상황은 계속 악화돼 지난해 3월 창원지법에 지역회생절차를 신청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3차례 매각에 실패하면서 성동조선의 새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