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봉쇄 바리케이드 너머로 식료품 전달하는 중국인. (사진=연합뉴스)
중국이 자국내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는 가운데 한국 등 일부 국가에서 확진가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이들 국가에서 오는 해당국 국민은 물론 자국민에 대한 방역도 강화하고 있다.
한국은 중국과 지리적,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인적교류가 많은 탓에 중국에서 방역 강화 소식이 들릴때마다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상황이다.
◇ 자가격리에서 시설격리로 중심이동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한 후베이 지역에서 처음 선을 보인 자가격리는 자신의 집에서 나오지 않는 자발적인 의미가 강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집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강제성이 가미되기 시작했다.
각 지방정부가 춘제 연휴를 마치고 돌아오는 사람들에게 14일간의 자가격리를 부여하면서 자가격리는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한 표준처럼 받아 들여졌다.
베이징 등 일부 도시들은 한국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기 전 한국에서 오는 승객들에게는 자가격리를 면제해주기도 했지만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라19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면서 자가격리를 다시 도입했다.
그러데 지난주 초부터 랴오닝성이나 산둥성 등 동북부 해안가 도시들을 중심으로 자가격리가 아닌 지정시설 격리라는 새로운 격리방법이 등장해 상당수 지방정부로 확산했다.
중국 내부의 코로나19가 진정세를 보이자 인적,물적으로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기자 외국에서 들어오는 승객들을 통한 코로나19의 역유입에 시선을 돌리기 시작한 것인데 한국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퍼지면서 한국이 주요 표적이 되는 것처럼 보이는 측면은 있다.
하지만 중국이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자국인에게도 똑같이 적용하는 것은 맞다.
◇ 격리비용 비용 댄다더니 서서히 떠넘기기
임시출입증. (사진=연합뉴스)
지난주 초 산둥성 웨이하이에서 한국에서 도착한 승객 전원을 호텔 등 지정시설에 격리하기로 했을 때 격리비용은 지방정부 부담이었다.
이후 몇몇 도시에서도 지정격리 문제가 나왔지만 비용은 격리하는 해당 지방정부에서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주말을 지나면서는 분위기가 바뀌었다.
광둥성 정부가 2일부터 한국에서 광저우와 선전의 공항이나 항만 등으로 들어오는 승객에 대해 국적을 불문하고 14일간의 지정격리를 실시하기로 했다.
지정된 장소로 이동해 핵산검사를 통해 음성이 나와도 14일간 격리되어야 하고 소요 비용도 격리자의 몫이다.
난징도 같은 비행기를 타고 온 승객중에 발열자가 나오면 앞뒤 3열을 지정격리하는데 비용을 격리자에게 부담시키려 했다가 우리 총영사관의 노력으로 개인이나 중소기업 근무자의 비용은 시정부가, 대기업 근무자는 시와 대기업이 함께 부담하는 선에서 접점을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 출입 통제 점점 더 강화되는 베이징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춘제 연휴 시작 즈음에 수도 베이징의 아파트 단지들은 서너 곳에 달하던 출입문을 걸어 잠그고 정문으로만 출입하게 했다.
초기에는 봉쇄된 출입문의 차량 출구를 이용해 주민들이 출입하는 등 융통성도 있었다. 그러나 춘제 연휴가 끝나고 귀성객들이 돌아올 즈음에는 임시출입증 소지자만 출입을 허용하는 등 까다롭게 변했다.
발열검사도 초기에는 경비원이 일일이 이마나 손에 측정기를 대는 방식이었지만 이내 공항 발열체크 방식과 같은 컴퓨터 검사로 바뀌었다.
없던 천막도 만들어지고 유명 배달업체가 기증한 것으로 보이는 택배 물건을 올려놓는 보관대도 단지마다 설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