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고경민 기자)
경기도민 10명 가운데 8명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장기화를 전망하며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을 긍정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지난 25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상황과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29일 결과를 발표했다.
◇ 코로나19로 인해 국가경제 위기 장기화 전망에 80% '동의'조사결과를 보면, 도민의 80%는 코로나19로 인해 국가경제가 위기에 빠지고 사태가 장기화될 것이라고 봤다.
실제 가계소득이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감소했다는 응답이 58%에 달했고, 도민의 40%는 6개월 후 가계소득에 대해서도 현재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휴직자·실직자를 포함해 구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원이 있다는 응답도 35%로 나타났다.
일자리의 급격한 감소는 가계소득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풀이된다. 특히 월 가구소득 200만 원 미만 저소득층에서 이러한 양상이 더 두드러졌다.
도민의 86%는 경제위기 속에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에 대해 '잘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도민들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을 지급받으면 △슈퍼마켓(49%) △일반음식점(40%) △전통시장(35%) 등에서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 △병·의·한의원, 약국, 산후조리원(16%) △편의점(15%) 순으로 높았다.(1+2순위 중복응답)
(사진=연합뉴스)
◇ 경기도, 코로나19 대처 '잘하고 있다' 89% … 2월 대비 17%p 상승
코로나19에 대한 경기도 대처에 대해서도 89%의 도민이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2월 조사보다 17%p 상승한 수치다.
도는 지난 4월 20일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을 받고 있다.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받는 재난기본소득은 백화점, 대형마트, 유흥·사행업소,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 사용 승인일로부터 3개월 내에 사용해야 한다.
곽윤석 경기도 홍보기획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도민의 높은 지지를 확인했다"며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과 골목상권을 도와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도록 신속한 소비 촉진 캠페인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25일 18세 이상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3.1%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