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대북전단금지법 공포…"제3국 살포 행위는 적용안돼"

대북전단금지법 공포…"제3국 살포 행위는 적용안돼"

정세균 "긴밀히 소통하며 개정 목적에 부합하게 이행되도록 준비하라"
이인영 "불필요한 오해 없도록 긴밀히 협의하고 국민과의 소통 강화"
통일부, 지난 주 50여개 주한 외교공관 대상 설명자료 제공
"표현의 자유는 헌법상 권리지만 DMZ 주민들 생명권보다 우선 아냐"
"제3국에서 북한으로 전단과 물품 보내는 건 그 나라 법 적용"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서울본부가 6월 12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전단살포 탈북자단체 고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정부는 22일 국무회의를 열어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이른바 '대북전단금지법') 공포안을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인영 통일부 장관에게 "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는 만큼, 관련 단체들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개정 목적에 부합하게 법이 이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이 장관은 "개정법률의 기본 취지인 접경지역 국민의 생명과, 신체와 주거의 안전이 보호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법안 내용에 대해 불필요한 오해가 없도록, 법안을 발의하고 가결해 준 국회와도 긴밀히 협의하면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법안 내용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겠다"고 답했다.

지난 6월 22일 밤 경기 파주에서 탈북단체가 보낸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이 다음 날 홍천군 서면 마곡리 인근 야산에 떨어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와 함께 법 시행 전까지 '전단 등 살포 규정 해석지침'을 만들어 법 시행에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임을 밝히면서, 앞으로 해석지침을 통해 당초 입법 취지대로 제3국에서 전단 등을 살포하는 행위는 이 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보다 분명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법은 조만간 관보를 통해 공포되면 3개월 뒤 시행되므로 오는 2021년 3월 말쯤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주 50여개 주한 외교공관 대상으로 대북전단 규제 관련 법 개정 설명자료를 제공한 적이 있다"며 "앞으로 국제사회와의 소통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동 법안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료는 주한 외교단이 본국에 법에 대해 보고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현재 국내외 일각에서 제기되는 비판에 대해 통일부가 설명하는 질의응답(Q&A) 방식으로 작성됐다.

(그래픽=연합뉴스)

 

통일부는 자료에서 법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해 위헌이 아닌지에 대한 질문에 "표현의 자유는 헌법상 권리이지만 비무장지대(DMZ) 지역 주민들의 생명·안전과 같은 생명권보다 우선할 수 없다(While freedom of expression is a constitutional right, it cannot take precedence over the right to life, such as the lives and safety of residents near the DMZ.)"고 답했다.

또 이 법이 제3국에서 북한으로의 물품 전달까지 규제할 것이란 해석에 대해서도 "한국에서 살포된 전단이나 물품이 조류나 기류에 의해 제3국을 거쳐 북한으로 보내지는 예외적인 경우를 규제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제3국에서 북한으로 전단과 물품을 전달하는 건 그 나라의 법이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