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P4G 정상급들 "포용적 녹색회복, 선진국이 기여해야"

연합뉴스

 

30일 화상으로 열린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참석자들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 연대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정상 연설세션에서는 김부겸 국무총리를 시작으로 녹색회복, 탄소중립, 민관협력 등에 대한 주요국 정상급·고위급 34명, 국제기구 수장 20명의 영상 메시지가 상영됐다.

이들은 코로나19를 지속가능한 '포용적 녹색회복'을 통해 극복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최근 1년은 코로나 사태뿐 아니라 역사상 가장 긴 장마를 비롯해 폭우와 한파 등 전례 없는 기후 위기를 마주했다"며 "기후 위기는 인류의 미래뿐 아니라 일상을 위협하고 있으며 바로 지금 담대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막대한 기후 변화 대응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국제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영국은 연구개발(R&D) 투자, 기술개발 등을 통해 녹색 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지속가능한 녹색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협력이 필수적이고 개발도상국의 고충 해결 지원이 특히 중요하다"며 "중국은 2060년 이전 탄소중립 달성 공약, 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주최 등 저탄소 및 녹색회복 달성을 위해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대한민국의 해외 석탄발전 공적 금융 지원 중단 선언과 같은 구체적 이행 정책을 각 국가에서 발표하기를 기대한다"며 "또 개발도상국의 기후 적응을 위해 (한국도 참석하는) G7 선진 국가들의 공여금 확대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유럽연합은 1조 8천억유로 규모의 경제회복 정책 예산 가운데 30% 이상을 경제의 녹색화를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면서 "선진국은 특별한 책임을 져야 한다. 탄소가격제와 녹색금융 발전을 위해 국가들의 더 많은 정치적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동시에 화석연료 사용을 단계적으로 중단해야 한다"며 "독일은 2045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기후재원을 위한 약속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기후목표 상향, 투자 및 기업 활동의 투명성, 공정하고 포용적인 전환이 중요하다"며 "아프리카 국가들이 화석연료 경제에 갇혀 있지 않고 전 세계와 함께 탈탄소 경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대규모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비롯한 재정지원 수단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