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영상]"살 자신이 없다" 수원역 집창촌 폐쇄…길 잃은 여성들

경인

    [영상]"살 자신이 없다" 수원역 집창촌 폐쇄…길 잃은 여성들

    [폐쇄된 집창촌, 남겨진 여성들①]
    가장인 여성들, 일제 업소 폐쇄로 돈벌이 끊겨
    가족 부양, 생계, 채무 부담…지원 신청 망설임
    한시적 생활지원, 주거 불안·재취업 애로 여전
    수원시 "불법영업 보상 불가, 자활지원 총력"
    하지만 일부 업주, 종사자 '영업 재개' 움직임

    집창촌은 불법이다. 전국 지자체들마다 폐쇄 작업이 한창이다. 경기남부 최대인 수원역 앞도 마찬가지. 한 달 전 문을 닫았다. 그로부터 이주 뒤, 한강 둔치에서 한 여성의 시신이 발견됐다. 수원역 성매매집결지 여성이었다. 취재 과정에서 혹자는 "시간을 많이 줬다"고 했다. 하지만 한 여성의 죽음은 그 시간보다 더 무겁다. 중요한 건 그 오랜 시간 우리가 그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무엇을 했느냐다. 그곳에도 '사람'이 살고 있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①"살 자신이 없다" 수원역 집창촌 폐쇄…길 잃은 여성들
    (계속)

    지난 5월 31일 밤 12시, 그녀는 일자리를 잃었다. 비록 불법이었지만, 그녀가 번 돈은 할머니의 병원비로 가족의 생활비로 쓰였다. '생명줄'이 끊긴 셈이다.

    이제는 공식적으로 문을 닫은 수원역 앞 집창촌 성매매 여성 A씨(30대)의 얘기다.

    ◇일터 상실 '가족 부양·생계' 부담, 통보식 지원책 '남 얘기'

    어려서부터 가족은 할머니뿐이었다. 유일한 피붙이인 할머니가 암에 걸리면서 들어갈 돈이 감당이 안 됐다.

    "식당, 편의점, 카페 등 닥치는 대로 알바를 했지만 병원비까지 내기 힘들었어요. 그 정도 벌이로는 할머니를 돌볼 방법이 없었죠."

    그렇게 그는 4년 전 수원역 앞 집창촌에 발을 들였다.

    6월 1일부터 폐쇄 조치된 수원역 일대 성매매집결지의 모습이다. 업소 유리문에는 영업 중단에 따른 피해 등을 호소하는 문구가 적힌 홍보물이 붙어 있다. 박창주 기자

     

    이제 그 일(성매매)마저 못 하게 됐다. 당장 '돈'이 걱정이다. 할머니 치료비만 매달 100만 원이 넘는다.

    몇 달 전부터 업소 폐쇄 얘기가 들렸다. 그 전부터 말이 나오긴 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길 건너 고층 아파트가 올라간 광경을 지켜보면서 다른 때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사장님(포주)이 12월까진 영업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문은 5월을 넘기자마자 닫혔다. 그로선 갑작스러울 수밖에 없다.

    "업주들하고 협의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와는 한 마디 상의도 없었어요. 난데없이 경찰이 들이닥쳐 불 끄라고 소리치니까 겁이 날 수밖에 없죠."

    이미 지나버린 일을 돌이킬 순 없다. 선택의 시간이다. 또 다른 성매매집결지를 찾아갈지, 수원시가 지원해주겠다는 자활지원을 받아들일지.

    폐쇄 소문이 나돌 때쯤 시민단체로부터 재활지원에 대한 설명을 들은 적이 있다. 하지만 선뜻 내키지가 않는다. 주거비 800만 원에 맞춰 방을 구하기가 힘든 데다 월 생활비 100만 원으로는 가족 뒷바라지도 벅차다.

    직업훈련비로 360만 원을 준다는 말에 직업을 바꿀까도 고민했다. 그러나 초등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인 그녀는 자신이 없다.

    "배운 게 도둑질뿐이라 이력서를 쓸 곳도, 받아주는 곳도 없어요."

    제대로 도움을 줄지, 행여 신분이 노출되는 건 아닌지 확신이 서질 않는 것도 지원 신청을 망설이는 이유다.

    "사람마다 사정이 다른데 실제 필요한 게 무엇인지 여성들에게 직접 듣지를 않아요. 무시 받는 느낌이랄까. 폐쇄 일정도 막 바꿨는데 아가씨들 신상정보 보호가 잘 지켜질지…"

    ◇벗어날 수 없는 '빚의 굴레'…주거 불안·전업 애로도

    폐쇄된 수원역 성매매집결지 내 일부 업소 건물은 소방도로 개설 사업과 관련해 철거가 진행 중이다. 박창주 기자

     

    1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수원역 성매매집결지 폐쇄로 자활지원을 받고 있는 여성은 39명, 150여명으로 추산된 전체 여성 가운데 26% 수준이다.

    A씨처럼 자활지원을 거부한 채 시를 상대로 보상책 마련을 촉구하며 업주들과 함께 거리로 나선 여성은 20여명. 나머지 대부분의 여성들은 또 다른 업소로 떠나는 등 자취를 감췄다.

    10년 전 사업부도로 가족들 생계를 떠안게 된 B씨(40대) 역시 그렇다. 외동딸인 그는 암에 걸린 아버지와 혼자 거동을 못하는 어머니를 돌본다.

    옷가게 점원, 일반 사무직 등 갖은 일을 해봐도 눈덩이처럼 불어난 사채이자를 당해낼 수 없었다. 여기에 업소에서 빌린 돈에 방세, 병원비까지 더해져 다달이 고정지출만 300만 원이다.

    "단기간에 돈을 벌려면 이 일 뿐이었어요. 그런데 일터가 갑자기 사라져 막막합니다."

    그렇다고 지자체 도움을 받겠다고 나설 수도 없다. 탈성매매가 지원 조건인데 행여 지원만 받고 나서 생활고 때문에 다시 업소로 돌아오게 되지 않을까 망설여져서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