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요소수 품귀 현상이 물류 대란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뚜렷한 해법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3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물류 배송을 위해 쓰이는 차량 대다수가 경유를 사용하는 화물차로 물류 대란이 현실화하면 타격이 불가피하다. 현재 운행되는 경유 화물차 330만대 중 60%인 200만대 정도는 요소수를 반드시 넣어야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태에 정부는 전날 국내 요소 수급 대응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각종 방안을 논의했다.
요소 수입을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중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하는 방안부터 러시아 등 중국을 대체할 수입선 다변화 방안 등이 담겼다.
또 산업용 요소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단기적으로 긴급한 차량용 요소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논의됐지만, 업계와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공업용 요소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사용하기에는 불순물 관리 등이 이뤄지지 않아 차량용 사용 기준에 맞추기 어렵다는 이유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제조사 입장에서는 공업용 요소로 요소수를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산업용 요소로 만든 요소수를 사용해 배기가스 저감장치인 SCR 장치가 고장 나거나 장치 효율이 떨어져 환경오염 물질을 더 배출하는 결과가 나온다면 '리스크'를 더 키우는 꼴이라는 말이다.
이 관계자는 "차량용 요소수를 만드는 기준이 있는데 불순물을 더 허용하자고 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도 산업용 요소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는 "요소수는 요소에다 증류수를 섞어서 만드는 것인데 농도와 같은 부분이 중요하다"며 "이런 부분들을 맞추지 않으면 SCR 장치가 분출 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고 질소산화물 저감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배기가스 저감 효과가 반감되면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산업용 요소를 활용하는 방법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업계 등에서는 수입선 다변화가 제일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이번 요소수 사태를 기회로 특정 국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의 모니터링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김경훈 동향분석실 연구위원은 "주력 산업이나 국민 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품목을 중심으로 해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품목들은 국가차원에서 관리하고 점검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