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건강앱 화면. 서울시 제공서울시는 청년들이 스마트폰 앱으로 우울감‧불안증 등을 자가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게임, 미술, 신체활동 같은 맞춤형 콘텐츠로 마음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마음건강 앱 서비스'를 9월부터 시범도입한다고 31일 밝혔다.
'마음건강 앱'은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의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한 검사도구와 콘텐츠를 통해 마음건강 상태를 진단‧회복할 수 있는 디지털 앱이다.
시는 남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병원이나 상담센터에 방문하지 않고도 마음건강 관리를 할 수 있어 특히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마음건강 앱'은 한양대 한양디지털헬스케어센터가 개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수행 중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정서장애 예방 및 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 사업의 하나다.
'마음건강 앱'에서는 3가지 유형의 검사도구를 통해 순차적으로 마음건강을 진단해볼 수 있다. △이모티콘과 소리를 넣어 쉽고 간편하게 검진하는 '디지털 우울척도 검사' △정신건강의학 전문의가 만든 검증된 '챗봇'(진단설문지) △인지조절능력, 자유연상력, 사회적 반응성 등 심리적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인지·정서 스크리닝 게임'이다.
사용자의 우울감 검사결과와 활동 수행 데이터가 쌓일수록 맞춤형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이 고도화된다.
'청년 마음건강 관리' 지원 사업 전담 상담사를 통해 지속적인 지원도 받게 된다. 참여 청년의 앱 사용 데이터를 상담 보조자료로 활용해 효과적인 상담이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마음건강도 신체건강처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신체건강과 달리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쉽게 간과하기 쉽다"며 "앱을 통해 간편하게 스스로 마음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때를 놓치지 않고 관리해 마음건강을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