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경남연구원, 도내 고졸 취업자 특성 인포그래픽스 발간
경남 직업계고 취업률 전국 다섯 번째로 높고, 대부분 도내 취업

경남연구원 제공경남연구원 제공
경남의 직업계고 취업률이 전국 다섯 번째로 높았으며, 10명 중 3명은 30명 미만 기업체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연구원은 '경남 고졸 취업자 특성은 어떨까요?(윤혜린 연구위원)'이라는 제목의 인포그래픽스 39호를 29일 내놨다.

2021년 기준 경남은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 중 고졸 취업자(41.9%)가 전문대졸 이상(39.3%)보다 많다. 고졸 취업자 비중은 전국(37.5%)보다도 높다. 그만큼 지역 경제에서 고졸 취업자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내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은 57.6%로, 전년도보다 7.9%p 증가했다. 이는 경북·대구·대전·충북에 이은 전국 다섯 번째로 높은 취업률이다.

고졸 취업자 10명 중 7명 이상(75.3%)은 경남에 취업했다. 나머지 24.7%는 다른 지역으로 옮겨 취업했다. 수도권, 부산·울산, 대전·충청, 대구·경북 등의 순이다.

10명 중 5명(51.1%)은 30명~300명 미만 기업체에 취업했다. 30명 미만 기업체 취업 비중도 30.4%나 된다. 그러나 전국(38.4%)보다는 낮은 수치다.

취업자의 36.4%는 제조업에서 일했다. 이어 도매·소매업(10.6%),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9.4%), 건설업(7.8%) 등의 순이다.

고졸 청년들은 괜찮은 임금, 고용의 안정성, 적정 근로시간, 출퇴근 용이성 등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실제 취업 관련 생각을 물었더니 71.8%는 '근무시간이 잘 지켜지지 않는 회사는 싫다'고 했다. 또 60.8%는 '출퇴근이 어려운 회사는 취업하기 싫다'고 답했다.

'주 5일 근무(55.9%)', '정규직(57.6%)', '나의 기준보다 적은 월급(54.1%)' 등도 취업의 조건이었다. 다만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13.1%)은 낮은 편이었다. 이에 연구원은 "고졸 청년의 고용 안정성과 일자리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연구원 제공경남연구원 제공
도는 고졸 취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혁신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지자체·대학·기업·혁신기관 등이 하나의 플랫폼으로, 지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이 인재들이 지역에 남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지역 기업의 인력 수급에도 도움이 되는 등 지역 발전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또, 특성화고 2학년부터 기업의 실무현장 교육을 진행하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경남도·기업·학교 간 협약으로 맞춤형 취업을 지원하는 '경남형 하이트랙', 도내 특성화고 졸업자의 일자리를 연계하는 고졸자-선도기업 간 희망사다리 일자리사업' 추진으로 고졸 청년의 취업을 돕고 있다.

이런 성과를 기반으로 경남은 '직업교육 혁신지구'로 2년 연속 선정됐다. 이는 지자체와 교육청 간 협력을 기반으로 고졸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에 정착하도록 직업계고와 지역기업·대학이 참여해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지원 체계다.

2021년에는 항공산업의 사천·진주·고성지구가 선정됐다. 2022년에는 지능형제조의 창원지구가, 미래자동차·의생명이 김해지구가 각각 뽑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