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외국인 환자 수 25만명…코로나 이전 50% 수준 회복



보건/의료

    외국인 환자 수 25만명…코로나 이전 50% 수준 회복

    지난해 외국인 환자 수 전년 대비 70% 증가…미국·중국 환자가 가장 많아

    연합뉴스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급감했던 한국 방문 외국인 환자 수가 코로나19 이전의 50%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모두 24만8천 명으로 2021년의 14만6천 명에서 70.1% 급증했다. 이는 국내에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으로, 건강보험 가입자나 피부양자가 아닌 채로 진료받은 환자를 집계한 수치다.

    의료기관들의 외국인 환자 유치가 허용된 2009년 이후 한국 병원을 찾은 외국인 환자들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가 2019년엔 역대 최다인 49만7천 명까지 늘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입출국이 위축되면서 2020년 11만7천 명으로 급격히 감소했고, 이후 방역 완화에 따라 조금씩 회복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외국인 환자 수는 코로나19 직전 2019년의 50% 수준까지 회복한 것이다.

    2022년 외국인 환자의 국적을 보면 미국(17.8%)과 중국(17.7%)이 가장 많았고, 일본(8.8%), 태국(8.2%), 베트남(5.9%) 순으로 뒤를 이었다.

    미국이 전년도에 이어 국적별 비중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코로나19 이전까진 줄곧 1위였던 중국은 코로나19 이동 제한이 완전히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도 전년 대비 한국 방문 환자가 56.8% 늘었다.
    일본의 경우 성형외과와 피부과를 중심으로 환자 수가 1년 사이 6배 넘게 급증해, 국내 외국인 환자 국적별 비중에서도 8위에서 3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진료 과목별로는 일반내과, 감염내과, 소화기내과 등을 모두 합친 내과통합 진료를 본 환자가 6만5천 명(22.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성형외과(15.8%), 피부과(12.3%), 검진센터(6.6%) 순이었다.

    모든 진료과목에서 전년 대비 외국인 환자 수가 늘어났는데 피부과(201.0%)와 성형외과(177.7%)의 증가율이 특히 두드러졌다.

    의료기관 규모별로는 의원급(36.3%)을 찾은 환자가 종합병원(28.8%), 상급종합병원(18.9%)보다 많았고, 지역별로는 전체 외국인 환자의 59.0%가 서울 지역 병원을 방문했다.

    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외국인 환자 50만 명 달성을 목표로 지난해 '제2차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 환자 유치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해 이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 글로벌 의료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고, 관광 등 다른 산업과의 부가가치와 국가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한국의료의 높은 국제경쟁력을 기반으로, 아시아 의료관광의 중심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