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의 춤 '정대업지무' 중 한 장면. 서울시무용단 제공 '칼군무'로 유명한 서울시무용단 '일무'가 더 화려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5월 2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무대에 오르는 '일무'는 종묘제례악(국가무형문화재 제1호·종묘에서 거행되는 제례의식에 사용되는 기악·노래·춤)의 춤인 '일무'(佾舞)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탄생시켰다.
'일무'는 종묘 제례무를 모티브로 하지만 원형의 재현이 아닌 새롭게 창작된 춤이다. 55명의 무용수가 열을 맞춰 대형군무를 선보인다.
정혜진 서울시무용단 단장은 2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예술동에서 열린 연습 장면 공개 행사에서 "종묘제례악의 춤을 차용하는 것보다 창작에 중점을 두되 전통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방법을 고민했다. 관객이 친숙하게 느끼면서도 새롭게 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일무'의 키워드는 '전통의 진화'다. 정구호 연출은 "작품을 만들면서 추구하는 것은 전통무용의 진화다. '일무'는 진화가 가장 많이 이뤄진 작업 중 하나"라며 "전통이 전통으로만 머물러 있으라는 법은 없다. 전통이 가장 현대적이고 진화된 형태의 공연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전했다.
'일무'는 지난해 한국무용 초연으로는 이례적으로 3022석 규모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총 4회 공연하며 평균 객석점유율 75%를 기록한 흥행작이다.
앞서 국립무용단과 작업한 '향연' '묵향' 등으로 매진 사례를 이뤘던 정 연출은 "관객이 전통에 관심을 갖지 않는 건 똑같은 것을 반복하고 답습하기 때문이다. '일무'는 새로운 전통의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관객의 반응이 좋았다"고 설명했다.
'춘앵무' 중 한 장면. 서울시무용단 제공 이번 시즌은 초연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수정·보완해 완성도를 높였다.
우선 기존 3막에서 4막으로 바뀌었다. 1막 '일무연구' 2막 '궁중무연구' 3막 '죽무' 4막 '신일무'로 재편성했다. 2막 '궁중무연구'는 '춘앵무'만 남기고 '가인전목단'은 삭제했고, 4막 '신일무'로 가기 전 3막 '죽무'를 추가했다.
이날 서울시무용단은 주황색 의상을 착용한 남성 무용수 18명이 1막 '일무연구' 중 '무무'(정대업지무)를 선보인 데 이어 여성 무용수 24명이 '춘앵무'를 췄다.
효명세자가 순원왕후의 생신을 기념해 만든 '춘앵무'는 움직임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만큼 절제된 일인무이지만 공연에서는 대형 군무로 확장했다. 정 단장은 "전통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이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어깨춤을 추는 등 현대의 움직임을 접목했다"고 말했다.
정 연출은 "죽무는 수많은 대나무 장치 사이에서 7m 높이 장대를 들고 추는 남성 군무다. 전통적 일무와 신일무의 다리 역할을 하는 춤으로 난이도가 매우 높다"며 "단순해 보이지만 모든 무용수가 일치된 동작을 보여줘야 한다. 많은 연습을 통해 최고의 무용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안무가 김성훈, 정혜진 단장, 정구호 연출, 안무가 김재덕(왼쪽부터) 서울시무용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