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강하 주민들 "2년 전 종점 변경 논의 無"…논란 이후 변경안 '총력전'[정다운의 뉴스톡]



경인

    강하 주민들 "2년 전 종점 변경 논의 無"…논란 이후 변경안 '총력전'[정다운의 뉴스톡]

    CBS 정다운의 뉴스톡 530
    ■ 방송 : CBS 라디오 <정다운의 뉴스톡 530>
    ■ 채널 : 표준FM 98.1 (17:30~18:00)
    ■ 진행 : 정다운 앵커
    ■ 패널 : 박창주 기자


    [앵커]

    서울-양평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좌초 위기에 놓이면서 교통난 해소를 염원해왔던 양평 주민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양평군은 강하면 나들목, IC 설치를 위해 노선을 바꾸는 게 최선이었다고 주장했는데요.

    정작 양평군 강하면 주민들은 애초에 종점 변경은 거론조차 한 적 없다며, 원래 노선에서 IC 설치만 요구했을 뿐이라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 취재한 박창주 기자 연결합니다. 박 기자.

    [기자]

    네 안녕하십니까, 경인본부 박창주 기잡니다.

    [앵커]

    논란의 종점 변경과 관련해서 국토부가 핵심 추진 근거로 강하IC 신설을 내세우고 있는데, 주민들 얘기는 다르다고요?

    [기자]

    네, 이른바 김건희 라인으로 불리는 강상면 종점안은 강하면을 직접 지나면서 강하IC를 설치할 수 있는 대안 노선이라는 게 국토부의 주장입니다.

    강하IC를 만들려면 종점을 바꾼 변경노선으로 가야한다는 거죠.

    이건 작년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가 끝난 이후 양평군이 국토부 요청으로 제안한 대안 노선에 포함된 내용인데요.

    하지만 2년전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나올 무렵까지만 해도 강하IC 요구의 주체였던 주민들은 종점 변경 없이, 단일 원안이었던 양서면 종점안에 강하IC를 내달라고 요청해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년 전 양평군 읍면 간담회에서 강하면 고속도로 민원을 취합했던 신택수씨, 그리고 강하면 운심2리 지운규 이장 얘기 직접 들어보시죠.

    [인서트: 노선이 도곡리 쪽으로 양서면 쪽으로 돼 있는 거잖아요. 거기에 IC를, 나들목을 하나 설치해달라고 건의를 한거였죠. 최초 저희가 건의한 건 운심리 쪽으로 건의를 한거였고, 지금 변경된 안에는 왕창리에 IC가 생기는 거잖아요. 어차피 도로가 이쪽으로 낸다는 건 그때는 아예 생각도 못했어고요.]

    [인서트: 글쎄 변경까지는 우리가 잘 몰랐잖앙. IC 만들어 달라는 얘기는 계속 했어 내가. (종점 변경이나 이런 걸 요구했던 적은 없었던 거죠?) 그렇죠 그건 뭐 우리가 그때 당시 얘기해서 될 일이 아니잖아. 그것까지는 우리가 생각을 안했어.]

    지난해 7월 양평군이 국토교통부에 제안한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의 3가지 안 표시도. 노란 표시가 IC 신설 예상 위치를 의미한다. 양평군청 제공지난해 7월 양평군이 국토교통부에 제안한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의 3가지 안 표시도. 노란 표시가 IC 신설 예상 위치를 의미한다. 양평군청 제공
    [앵커]

    일반적으로 종점안 변경 얘기가 나오면 지역별로 서로 유리한 방향으로 갈등도 겪고 하지 않나요?

    [기자]

    통상 고속도로나 철도 노선을 두고 지역 간 논쟁이 벌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왔죠.

    그런데 이번 강하IC 설치나 종점 변경에 대해서는 강하면은 물론, 지역 어디에서도 과거에 의견이 엇갈리거나 갈등이 벌어진 적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간담회 때 참석한 강하면 주민 얘기 들어보시죠.

    [인서트: 알고 있었으면 그때 큰 충돌이 나고 뉴스도 나오고 그래야 하는데 그때 당시엔 그런 일이 전혀 없었고요. 맘카페나 이런 데서는 축하한다 경사다 막 이런 식으로만 나왔지 왜 이거를 이렇게 했냐며 싸움이 일어나거나 그런 게 하나도 없었어요.]

    [앵커]

    원래 주민들이 원했던 강하IC는 최근 논란이 된 김건희 라인의 강하IC는 아니었다는 얘기네요.

    주민들 기억만 그런 게 아니라 실제 문서로도 기록돼 있다고요?

    [기자]

    지난 2021년 4월 '양평군 읍면 간담회 보고서'와 민주당 여주양평지역위원회 '조치 계획 보고서'를 보면, '강하면 구간 IC 설치' 내용은 짧게 한 줄로 적혀 있고 종점이나 노선 변경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특혜 의혹이 불거진 변경 노선안의 종점인 강상면의 경우, 읍면 간담회 자료에는 고속도로 현안 내용은 아예 담기지도 않았습니다.

        [앵커]

    국민의힘이나 일부 보수언론에서 민주당이 2년 전부터 강상면 종점안을 먼저 요구했다는 주장과는 완전히 상반된 내용 아닌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주민 증언이나 간담회 내용을 종합하면 '민주당 지역위원회도 강상면 종점안의 필요성을 제기해왔다'는 국민의힘 등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더욱이 작년에 양평군이 국토부에 제안한 3개 대안 노선 자료를 봐도, 양서면 종점의 원안이 일부 구간만 수정된 1안으로 설정돼 있고 이 대안 노선에도 강하IC 신설 계획이 잡혀 있습니다.

    당시에는 양평군도 김 여사 일가 특혜 우려가 높은 강상면으로 종점을 바꾸지 않고도, 강하 주민들 요구대로 원안 종점 방향의 노선상에 얼마든지 강하IC를 만들 수 있었다고 판단했다는 얘깁니다.

    [앵커]

    그런데도 지금 와서는 국토부과 양평군 모두 김건희 여사 일가 땅이 몰려 있는 곳인 강상면 종점안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번 특혜의혹을 촉발한 서울-양평고속도로 변경 노선에 대해 타당성 검토 결과 가장 적합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건데요.

    국토부는 어제 보도자료를 내고 예타 노선에서 강하IC를 만들려면 종점과 노선 변경이 필수라는 입장을 밝혔고, 이에 맞춰 양평군도 특혜 논란이 거센 강상면 종점안의 장점들을 지역에 전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양평군은 지금까지 강상면 종점안에 대해 사업비가 늘고 경제성 재분석이 필요하다고 부정 평가를 했고, 또 선제적으로 국토부에 종점 변경을 요청했던 적도 없어 뒤늦게 기존 입장이 바뀐 것을 두고 주민들 혼란만 가중되고 있습니다.

    양평군은 올해 2월 국토부에 보낸 회신에서도 '양평군 통과 노선에 IC 설치 등 주민들이 혜택을 받도록 노선 계획을 수립해 달라'고 짧게 의견을 냈을 뿐, 종점 변경에 대해서는 아무런 의견도 내지 않았습니다.

    [앵커]

    오락가락 행정에 주민들 분통만 더 커지게 된 모양새네요. 여기까지 박창주 기자였습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