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킬러 문항과 '최종 병기', 수능을 해부한다



미디어

    킬러 문항과 '최종 병기', 수능을 해부한다

    MBC 스트레이트 제공 MBC 스트레이트 제공  윤석열 대통령의 이른바 '킬러 문항' 배제 지시 이후 교육계에선 한 달 넘게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수능을 불과 5개월 앞두고 이뤄진 발표에 재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불안을 호소하고, 학원들은 이런 불안감을 이용해 학생 모집에 분주하다. 대학생들도 수능 응시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대입 출제 방식을 바꿔 사교육을 줄이겠다는 정부의 목표는 이뤄질 수 있을까.    

    대입 제도의 뼈대를 이루는 수학능력시험은 지난 1993년 처음 등장했다. 단순 암기력보다는 사고력을 측정하겠다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도입 30년이 흐르면서 취지와 달리 '변질됐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수능 문제가 정형화하면서 '출제될 법한' 문제를 많이 푸는 게 중요해진 것이다.

    '사교육 1번지' 대치동 학원가에선 교재를 만들기 위해 문제 1개당 수십만 원에서 백만 원 넘는 가격에도 사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들이 관심과 적성에 따라 다양한 선택 과목을 듣고 이수하는 '고교학점제'도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된다. 교실의 풍경을 바꿀 중대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수능 중심의 입시 제도가 계속된다면 제대로 정착될지 걱정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23일 MBC '스트레이트'에서는 수능 '킬러 문항'을 둘러싼 논란과 현 대입 제도의 실상에 대해 집중 보도한다. 수능을 중심에 둔 대입 제도의 실상을 들여다 보고, '줄 세우기식' 교육의 폐해를 개선하겠다며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현실에선 개선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점도 짚어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