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잼버리 청소 지원 갔는데 도시락값 1만2천원 내라고 하네요"[이슈시개]



사회 일반

    "잼버리 청소 지원 갔는데 도시락값 1만2천원 내라고 하네요"[이슈시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캡처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캡처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현장 청소 지원 업무를 나간 공무원들에게 지자체가 도시락 비용을 걷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에는 '잼버리 청소 지원 갔더니 도시락 비용 청구하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지난 4일 잼버리 청소 지원 근무에 다녀왔다는 글쓴이는 "오후 1시에 출발해서 2시부터 근무 시작, 저녁에 배부해준 도시락을 먹고 저녁 8시 반까지 근무했다"며 "그런데 오늘 잼버리 지원 근무자에게 도시락비용이 청구됐다"고 밝혔다.

    10일 전북도 자치행정과에 따르면 전북도는 스카우트 대원들이 새만금 야영장에서 철수한 다음 날인 9일, 지원 업무에 나섰던 공무원들에게 식비를 청구하는 내용의 공지 문자를 돌렸다. 이 공지에는 '부담 주게 돼 죄송하지만 동원된 직원들 식비를 각 부서에서 걷기로 했다'며 1인당 1만 2천원씩 참여 인원을 계산해 담당자 계좌에 송금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캡처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캡처
    글쓴이는 도시락 사진을 첨부하며 "이게 1만2천 원짜리인가. 도시락 하나 지원 못해주면서 일을 시키나"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해당 도시락은 밥, 제육볶음, 전, 콩나물, 김치로 구성되어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편의점 도시락만 못하다", "지원 근무도 모자라서 식비까지 청구하는 게 말이 되나" 등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이와 관련 전북도 관계자는 "출장비를 지급하는 것 외에 별도로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며 "직원들에게 사비로 밥값을 내라고 한 게 아니라 출장비에 포함된 식비를 되돌려달라고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마포녹색어머니회로부터 회원이 받은 메시지. SNS 캡처 마포녹색어머니회로부터 회원이 받은 메시지. SNS 캡처 
    이밖에도 잼버리 '뒷수습'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마포구청은 마포녹색어머니회를 잼버리 행사에 동원하려한 한 것이 알려져 빈축을 샀다.

    9일 마포구는 오는 11일 저녁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2023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케이팝 슈퍼 라이브'와 관련해 녹색어머니회 등 6개 단체에 자원봉사 모집을 요청했다.

    한 누리꾼이 공개한 문자 메시지에 따르면 마포녹색어머니회는 마포구의 요청에 "(콘서트) 참석인원이 4만 명이라 계도 활동에 필요한 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보니 가능한 많은 인원을 지원해달라고 한다"며 "각 학교당 최소 15명씩 지원을 부탁한다"는 내용의 문자를 회원들에게 보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2023년판 금모으기 운동"이라는 비판 목소리가 나왔다. 잼버리 부실 운영에 따른 수습 책임을 국민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것이다. 누리꾼들은 "운영비는 다 어디다 쓰고 국민들을 무료로 이용하나", "전시상황인가 왜 민간인을 동원하나", "장소고 인력이고 되는대로 하는 것 같은데 행사가 과연 잘 될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

    앞서 서울의 한 자치구 주민센터는 주민들에게 잼버리 대원들이 머물 '가정 홈스테이'를 찾는다는 공지문자를 7일 보냈다가 취소한 바 있다. 숙박비는 2인1실 기준 1박당 15만원, 식비 등 1인당 1인 5만원을 지원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MBC 보도 화면 캡처MBC 보도 화면 캡처
    한편, 태풍 카눈 북상에 잼버리 대원들이 전국각지로 흩어진 가운데 한국 대원들에 대한 '홀대 논란'도 불거졌다.

    9일 MBC 보도에 따르면 한국 대원 370명은 경기 지역의 한 시설로 숙소가 배정됐다. 한국 대원들은 강당에 모여 별다른 침구 없이 얇은 매트 한장과 타월 한장을 깔고 하룻밤을 보냈다. 별도의 샤워 시설도 없어 세면대에 호스를 연결해 씻은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대부분의 외국 대원들은 여러 기업의 지원으로 호텔 수준 시설에 머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스카우트 대원 학부모들은 "외국 대원들은 주변 대학교 기숙사나 건물로 배정받았던데 한국 대원들은 텐트나 가림막도 없다", "거의 난민촌 수준인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