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구글 AI '제미나이' 시연 영상 조작 논란에 성능 지적까지



IT/과학

    구글 AI '제미나이' 시연 영상 조작 논란에 성능 지적까지

    제미나이 발표 시연 영상 조작 논란 일자
    구글 "상호작용 예시적 묘사한 것" 일정
    정확한 답 내놓지 못하거나 회피하기도

    연합뉴스연합뉴스
    구글이 새롭게 공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에 대한 논란이 잇따르고 있다. 구글이 제미나이를 공개한 날 시연 과정에서 선보인 영상이 사전에 편집된 것으로 드러난데 이어 성능도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현지 시각) 미국 CNBC 등에 따르면, 구글은 성명을 내고 "(제미나이) 시연이 실시간으로 진행되지 않고, 미리 준비된 이미지와 텍스트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제작됐다"며 "영상은 제미나이가 멀티모달(Multi Modal) 기능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묘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시연 영상 공개 직후 언론에서 '짜깁기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는데, 이를 구글 측에서 인정한 것이다.

    제미나이는 지난 6일 구글이 챗GPT의 대항마로 내놓은 멀티모달 AI다. 멀티모달은 시각, 청각 등을 활용해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영상 등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구글은 제미나이가 이미지를 인식하고, 음성으로 말하거나 들을 수 있으며 코딩 능력까지 갖췄다고 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구글은 제미나이를 발표하며 6분 23초짜리 시연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서 제미나이는 사람과 소통하며 빠르고 똑똑한 대답을 내놓는 '만능 AI'처럼 묘사됐다. 이를테면 사람이 제미나이에게 소리나는 오리 인형을 보여주며 "이 오리가 물에 뜰까?"라고 물으면 "물보다 밀도가 낮은 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반드시 물에 뜰 것이다"라고 답하는 식이었다.

    제미나이가 질문에 정확한 답을 하지 못하거나 논란이 되는 주제에 답을 회피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구글은 제미나이 모델을 3개로 나눠 출시하면서 범용 모델(프로)을 AI 챗봇인 바드에 탑재했다. 미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바드 이용자들은 올해 오스카 시상식에서 누가 남우주연상을 받았는지 질문에 바드가 버벅거렸다고 밝혔다. 또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답을 달라는 요청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지적 내용을 더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인 하마스 전쟁 상황을 업데이트해달라는 요청에선 바드가 "최신 정보를 얻으려면 구글 검색을 해보라"며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이를 두고 상세한 답변을 하는 챗GPT 프로와 마이크로소프트(MS) 빙 등 경쟁사 챗봇과 대조적이라고 지적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