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檢 "김용 알리바이 위증 사전 승인"…金 "사실무근"



법조

    檢 "김용 알리바이 위증 사전 승인"…金 "사실무근"

    "재판 대응 TF 만들고 위증 계획 수립"
    김 전 부원장도 구치소서 인지 의심
    김용 측 "위증 이유도 필요도 없어"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연합뉴스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연합뉴스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자신의 재판에서 이뤄질 위증을 미리 인지하고 승인한 것으로 검찰이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부원장 측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발했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강백신 부장검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대선 선거대책위원회 상황실장 출신 박모(45)씨와 서모(44)씨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과정에서 이런 정황을 담은 주장을 재판부에 낸 것으로 전해졌다. 박씨와 서씨는 지난 15일 위증교사 혐의로 구속됐다.

    검찰은 2022년 10월 19일 김 전 부원장 체포 직후 박씨와 서씨가 이모 전 경기아트센터 사장 등 이 대표 측근들과 함께 대책회의를 연 것으로 파악했다고 한다. 검찰은 이 회의가 김용 재판 대응 태스크포스(TF)로 발전했고 이후 김 전 부원장의 알리바이 조작 계획이 수립됐다고 의심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전경. 연합뉴스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전경. 연합뉴스
    검찰은 김 전 부원장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으로부터 1억원을 받은 날로 2021년 5월 3일로 특정했다. 이후 TF 구성원들이 해당 날짜에 이 전 사장과 신모 경기도에너지센터장이 만난 사실을 확인한 후 두 사람에게 이 전 사장에게 '김 전 부원장도 같이 만났다고 증언해 달라'고 부탁해 위증이 이뤄졌다는 것이 검찰이 그리는 위증교사 사건의 얼개다. 수사팀은 이런 상황을 당시 구치소에 있던 김 전 부원장도 일부 전달받아 인지했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부원장 측 김기표 변호사는 "이 전 사장은 2021년 5월 3일 김 전 부원장과 만났다고 해놓고 검찰에서 전혀 다른 진술을 했다. 그날 김 전 부원장이 돈을 받지 않은 것은 다른 사실로 충분히 입증이 가능해 위증할 이유도 필요도 없다"고 주장했다.

    김 전 부원장은 유 전 본부장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6억원과 뇌물 7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지난해 11월 1심에서 징역 5년을 받았다. 김 변호사는 "항소심에서 김 전 부원장의 무고함이 밝혀질 것이며 검찰이 그리는 그림도 허구임이 명백히 드러날 것"이라며 "검찰은 조직적으로 위증교사를 했다는 무분별한 언론플레이를 당장 중단하라"고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